본문 바로가기

주제/문서, 성서, 번역

<예수셩교 누가복음 젼셔> 표지와 강명편, 1882

1882년 로스의 누가복음 표지 둘
영국성서공회(BFBS) 아카이브가 오래 전에 캠브리지대학교 도서관으로 이전했다. 고문서실 안에는 <예수셩교누가복음젼셔> 원본이 두 권 있었다. 최초의 한글 복음서이다.

표지 1 캠브리지대학교 전시본

광세 팔년 / 예수셩교누가복음젼셔 / 심양 문광셔원 간

광세는 중국 청나라의 연호로 8년은 1882년이다. 아래 공간에 BFBS(British and Foreign Bible Society) 도서관 도장을 찍었다. 위에는 사서가 손글씨로 다음과 같이 적었다. 

"Gospel of St. Luke in Corean. Rev. W. Wright. Sec. of Bible Society, London. with compl[emen]ts of JR. Newchwang, 24 March, 1882"

곧 "한글판 누가복음, 런던 성서공회 총무 라이트. 존 로스의 강명편 부록. 우장, 1882년 3월 24일 [발송]"이라고 적었다. 첫 한글 복음서인 누가복음은 3월에, 두 번째인 요한복음은 5월에 발간되었다. 

영국성서공회는 번역서에 주석이나 부록을 넣지 못하게 했는데, 예외적으로 첫 복음서이기 때문에 부록으로 고유명사를 설명하는 '강명편'을 넣도록 허락했다. 그래서 이 책은 영국성서공회사에서도 중요하다. 사서는 이를 알고 표지에 로스가 쓴 부록이 들어가 있다고 표시했다.  

부록으로 들어간 강명편

영인본 표지

대한성서공회가 영국성서공회와 우호적인 관계를 유지하고 재정적 도움도 주었기 때문에, 대한성서공회 120 주년이 가까워오던 1998년 그 중 한 부를 기증했다.

On January 29, 1998, the Korean Bible Society(KBS) received a copy and microfilm of the first Korean Gospel, "Gospel St. Luke"(1882, first edition)  from the British & Foreign Bible Society(BFBS). one of the two copies the BFBS had in its possession was donated at the persistent request of the General Secretary(GS) of KBS, Kim Ho-yong. From the left at the donation ceremony, Kim Ho-yong/GS of KBS, Soh Won-suk/Director of KBS, Neil Crosby/GS of the BFBS, and John Erickson/former GS of the United Bible Society, took a commemorative photo. 

대한성서공회는 이에 영인본(복쇄본)을 발행, 판매했다. 따라서  영인본은 표지가 다르다. 사서가 "Corean St. Luke"라고 썼고 도서관 도장도 없다.

[참고로 신약전서인 <예수셩교젼셔>는 대한성서공회 90주년 기념과 예수셩교젼셔 발간 100주년 기념으로 1986년에 영인본이 나왔다. 그후 대한성서공회 도서관 창고에서 원본이 발견되었다! 그래서 런던 영국성서공회에 한 부, 서울 대한성서공회에 한 부가 존재한다.] 

대한성서공회 영인본 표지, 2003

대두법(擡頭法) 사용

띄어쓰기 개념은 없었으나 대신 대두법을 사용하여 존칭어를 표시했다. 곧 전통적으로 한문에서 왕이나 왕후 이름 앞뒤에 한 칸을 띄우거나 줄을 바꾸어 존경을 표하는 대두법을 사용했는데, 로스는 하느님, 주, 구주, 그리스도와 같은 단어 다음에 한 칸을 띄우는 대두법을 사용했다

첫 페이지

 

이 복음서를 들고 1882년 김청송이 만주 서간도 한인촌에서 전도하여 1884-85년에 100명이 세례를 받았다.

이 복음서를 들고 1883년 서상륜이 서울에서 전도한 결과 1885년 초에 70명의 신자가 있다고 로스에게 보고했다.

이 복음서를 들고 1883년부터 류춘천(혹은 류준천)이 평양에서 4년 간 권서 사역을 했다. 아무 열매가 없었다. 그러나 그의 수고는 1890년 이후 마포삼열이 이어 받는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