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카테고리 없음

한국교회사 석박사 논문, 2020. 1 - 2021 .3

박사 논문(2021-2020)

이범석, 우치무라 간조의 재림관에 대한 통일원리적 고찰, 선문대학교 신학전문대학원, 2021

김은정, 미국 북장로회 전도부인 연구, 연세대학교 연합신학대학원

김주황, 김진호의 기록물을 통한 생애 연구, 협성대학교 일반대학원

이교남, 미국 북장로교 안동선교부가 경북북부지역 교회 발전에 미친 영향, 총신대학교 목회신학전문대학원

박철우, 구세군 한국교회 예배음악 발전방향에 관한 연구, 서울장신대학교, 2021

유한수. 遊星 김준곤 목사의 십자가 중심 설교연구, 총신대학교 목회신학전문대학원, 2021

황성욱, 한국 기독교 역사를 통해 본 기독교 공동체의 대안적 연구, 협성대학교 일반대학원

이지춘, 한국 재림교회 역사 속의 종교자유 논쟁, 삼육대학교 대학원

여주애, 로제타 홀 선교사의 효사역에 관한 연구: 성경적 7효 중심으로, 성산효대학원대학교, 2021.

이용철. 평안도지역 3·1운동 연구. 충북대학교, 2020 

김진, 길선주의 종말론 : 말세론분석을 중심으로, 장로회신학대학교 대학원. 2020

최완규. 한국 백두대간에 형성된 기독교 영성에 관한 연구: 기독교대한수도원, 예수원, 용문산기도원, 기독교동광원수도회를 중심으로, 협성대학교 대학원, 2020

구성수, 예장 통합의 신학의 정체성 연구 : 1945-1980, 서울장신대학교, 2020

김현철, 통전적 변혁 선교를 위한 성령운동: 일가(一家) 김용기의 가나안운동에 대한 선교신학적 고찰, 주안대학원대학교 2020

이호균, 한국성결교회 납북 목사의 신학과 설교에 관한 연구: 이건, 박현명, 김유연을 중심으로. 서울신학대학교 일반대학원 2020

박인숙. 주기도문 사용에 관한 예배사적 문헌 연구와 한국교회 적용 방안. 백석대학교 기독교전문대학원, 2020

김광수. 한국교회의 진보성향 설교의 비평적 평가와 과제에 대한 연구: 문익환, 홍근수, 인명진을 중심으로. 장로회신학대학교, 2020

박태안. 거창지역 기독교 전래와 성장에 관한 연구 : 1904년부터 1960년대까지. 건신대학원대학교

박기원. 한글 찬송가의 역사 연구. 호서대학교 연합신학전문대학원, 2020

최청순, 헨리 G. 아펜젤러 일가(一家)의 사회복지선교, 배재대학교 일반대학원, 2020

 

석사 논문(2021-2020)

안성우, 1950-70년대 영락교회 신앙 정체성 연구, 서울장신대학교

배성숙, 김재준의 디아코니아 교회론. 한신대학교 신학대학원

이규희. 기독교와 민족적 정체성: 식민지 시대 김마리아와 박인덕을 중심으로, 이화여자대학교 신학대학원

ZHANG WENJUN, 韓中 근대 미션대학의 建築文化 비교 연구, 고려대학교 대학원 2021

이주일. 한국 장로교의 일본 선교와 재일대한기독교회 형성사 연구, 장로회신학대학교 대학원

정찬미. 1950년대 한국 라디오의 소리 근대성 형성 과정 : 1954~1960년 라디오 방송의 발전 과정을 중심으로. 서강대학교 대학원 2021

이주원. 저항의 관점에서 본 강원용 목사의 설교 사역 연구, 장로회신학대학교 일반대학원

황성민, 한국전쟁 전후시기(1945-55), 한경직목사의 사회봉사 연구: 그의 설교분석을 중심으로, 장로회신학대학교 대학원

박혜은, 한국 기독교인의 토착적 신앙고백과 공교회로서 교리문답 규범화 연구: 1883~1907년을 중심으로, 연세대학교 연합신학대학원

이현주. 『로제타 홀 일기』에 나타난 로제타 홀의 교육사상 연구. 장로회신학대학교 대학원. 2021

강슬기. 1907년 전후 대부흥운동이 한국 기독교 민족운동에 끼친 영향. 성결대학교 신학대학원. 2021 

이규희. 기독교와 민족적 정체성 : 식민지 시대 김마리아와 박인덕을 중심으로. 이화여자대학교 신학대학원, 2021

전하람, 한국장로교 복음주의의 신학 유형연구 : 1912년을 중심으로, 서울장신일반대학원, 2020

임용섭, 일제 말 개신교 연합신문 「기독교신문」(1942-1944)에 대한 일 고찰, 감리교신학대학교 대학원, 2020

방정훈, 선비목사 이원영의 성경 기독교': ‘선비목사' 안에 나타나는 유림 선비의 연속과 단절, 장로회신학대학교 대학원

신정호, 미국 기독교계의 3.1운동 대응과 對日認識 : The Korean Situation을 중심으로, 서강대학교 대학원, 2020

김신약, 한국 개신교의 제주4.3사건 인식 연구, 장로회신학대학교 대학원, 2020

심예진, 회주의의 종교비판에 대한 기독교의 대응: 1920·30년대 조선예수교서회의 출판물을 중심으로, 성균관대학교 일반대학원

홍보석. 장로교회 총회록(8,1919)에 나타난 "독립만세사건." 장로회신학대학교 대학원

허요한 A Study of the Historical Implications of the Lausanne Movement. 서울신학대학교 일반대학원

김지은. 개화기 기독교 입문 교재 연구: 진리편독삼자경(眞理便讀三字經)을 중심으로. 호서대학교 연합신학전문대학원

양익산, 존 로스(John Ross)와 한국 개신교의 자생적 시작에 관한 연구. 장로회신학대학교 대학원, 2020

MOU YONGBAO. 개혁주의 관점에서 본 가옥명(賈玉銘,Jia Yuming)의 종말론. 총신대학교 일반대학원

이서준. 일제강점기 한글성경의 반포와 해석에서 나타나는 항일 운동에 관한 연구. 감리교신학대학교 신학대학원

이의정. 이강산의 생애와 부흥운동. 목원대학교 신학대학원, 2020

김지은. 한국장로교와 삼일운동. 총신대학교 일반대학원, 2020

오헌. 로잔운동이 한국교회 복음주의 운동에 끼친 영향. 총신대학교 일반대학원, 2020

김병숙. 신천지 예수교 증거 장막성전 교주 이만희 교리 반증. 총신대학교 선교대학원, 2020.

                                박사논문이 상당히 많다. 일부 누락이 있겠지만 RISS를 통해 검색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