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주제/통계와 연보

(13)
1937년 그리스도인 통계 총독부 통계에 따르면 1937년 말 개신교인-- 224,688명(장로회 162,927명, 감리회 24,793명 , 구세군 14,594명,성공회 8,401명, 안식교회 8,105명, 동양선교회 5,868명 등이었고, 천주교인 149,719명, 정교회 185명. 합계 374,583명으로 개신교인 = 60%, 천주교인 = 40%. 전 인구를 22,000,000명으로 잡으면이었으므로 그리스도인은 인구의 1.7%였다. 이게 일제시대 최대치라고 보면 된다. 장로교회와 천주교회의 경쟁이었다고 볼 수도 있다.
1896 한국 기독교 통계 Daniel L. Gifford, Everyday Life in Korea (New York: Revell, 18908), Appendix A. 개신교 선교사 101명, 천주교 선교사 34명 청일전쟁 후 1년 동안 개신교에는 217명이 새로 입교했고, 천주교에는 1,250명이 입교했다. 이 추세는 점점 그 간격이 좁혀지다가, 1902년 전후에 역전된다. 그 이유 중의 하나는 위 표에서 보듯이 의료에 개신교가 많은 투자를 했기 때문이다. 성공회를 제외한 개신교 병원은 9개, 진료소 12개에서 455명이 입원 치료를 받았고, 3만 여 명이 외래환자로 치료를 받았다. 교육 선교에서는, 1905년 이후 애국계몽운동 기간에 개신교 학교가 폭발적으로 성장했다.
2018년 한국 개신교 분석 1. 감리교회 교세 100만 명으로 추락 얼마 전 (2018년 5월) 감리교회 교세가 발표되어 약간의 충격을 주었다. 다음은 대한기독교감리회 웹페이지에 공식 발표된 자료이다. http://www.dangdangnews.com/news/articleView.html?idxno=29068 한 때 150만까지 갔으나 이제 100만 명이다. 올해(2018년) 말 예상치는 내가 추가했다. 곧 20년 전인 1998년으로 돌아간 130만 명 수준이다. 그러나 실제 출석하는 교인 숫자는 100만 명으로 추정된다.​ 지난 20년 간 감리교회가 보여준 내부 분열과 부패상을 생각하면, 2000년대 10년 간 증가한 것이 이상할 정도이며, 2011년부터 인정할 수밖에 없는 현실을 인정하면서 정상적인 통계가 나왔다고 볼 수밖에..
2010-21 예장 통합 합동 교인 통계 2021년 총회에 보고된 대한예수교장로회 통합과 합동의 공식 교인 통계를 도표로 나타내면 다음과 같다. 2010년 300만에서 2019년 250만까지 감소하는데 10년이 걸렸다. 2019년 250만에서 2021년 200만으로 감소하는데엔 2년이 걸릴 것이다. 그만큼 코로나 팬데빅에 대해 제대로 반응하지 못하고 좋은 기회를 놓쳤다. 회개와 봉사의 의무는 하지 않고, 예배의 자유와 권리만을 외쳤기 때문이다. 10년만에 70만씩을 상실했다면 특단의 대책을 내어놓아야 한다. 총회로 모여서 부회장 선거에 두 시간을 보내는 총회는 희망이 없다.
7월의 한국교회사 7월의 사건과 생몰자
1909 "Historical Sketch of the Korea Mission, PCUSA" Historical Sketch of the Korea Mission (new York: PCUSA, 1909) See here for the whole texts: archive.org/details/historicalsketch00pres_0/mode/1up 왜 황해도와 평안남도를 상대적으로 크게 그렸을까? 1900대 한국 내 선교사들에게 급성장하는 평안남도와 황해도가 더 중요하게 되고 크게 보였을 수 있다. 동시에 선교지부가 평양(1894) --> 선천(1901) --> 재령(1906) --> 강계(1908) 순서로 설치된 데서 보듯이, 평양을 중심으로 한편으로는 황해도 재령으로 내려오고, 한편으로는 평북의 선천에서 강계로 확장되는 양면적 확장이 주된 흐름이었다. 결국 강계에서 서간도로 확장되는 것..
기독교의 미래는 밝다 [세계 기독교 > 동아시아 기독교 > 한국 기독교] 1. 유럽, 북미, 한국 등 북반구 기독교를 보면 후기-기독교 사회로 기독교인 비율이 급격히 쇠퇴하고 있다. 특히 청년층에서 무종교인의 비율이 이전 세대에 비해 아주 높다. 한국은 20년 전부터 비종교인(Religious None)이 종교인보다 많다. 그러나 인구센서스를 할 떄 북미에서 '기독교인'이라는 자기정체성과 한국에서 '기독교인'이라는 자기정체성의 성격이 많이 다르므로 이를 고려해서 이해해야 한다. 또한 동아시아에서 '종교' 센서스에 샤머니즘이나 도교와 같은 민간종교가 포함되지 않기 때문에 중국이나 한국에서 무종교인이 많이 나온다. 서구 중심적 종교 개념 때문인 것을 반드시 고려해야 한다. 2. 동아시아를 놓고 보면 지난 30년 간 기독교의 발전..
1938년 개성시 종교 통계 1938년 개성시 인구는 약 6만 명이었다. 종교인은 전체 4,646명으로 약 7.7%였다. 이런 정도가 해방 전 한국인의 종교 통계로서 적절해 보인다. 개신교인은 해방 이전 전 인구의 2% 정도였다. 아래 도표와 설명에서 숫자가 일부 차이가 나기 때문에, 이 도표는 아래 도표에 있는 숫자를 바탕으로 재작성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