transactional or transcendent?
글이나 설교나 강의는 머리로 주고 받는 일종의 거래이다. 이익을 주고 받는 정보 교환이다. 가슴으로 내려가지 않고 머리를 굴리는 수준에서 끝난다. 설교를 노트에 적어도 다음 날이면 다 잊는다. 일주일이 지난 후에 기억에 남는 설교는 별로 없다. 설교 수 십 년 들어도 변하지 않는 교인이 많은 이유는, 설교를 머리로만, 노트로만 받아들이기 때문이다.
설교자도 설교 일을 처리하는 사역꾼이다. 그 말씀대로 살지 않고, 설교대로 교인들이 하리라고 기대하지도 않고 설교한다. 그래서 변화가 없다. 교인들이 설교대로 한다면 어떤 일이 일어날까? 한 달 안에 한국이 뒤집어 질 것이다. 그러나 그런 일은 없다. 정보 교환, 지식 거래이기 때문이다. 성경 지식이, 신학적 현란함이 우리를 구원하는 게 아니다.
설교자가 체험한 이야기는 교인들에게 감동을 주고 가슴까지 내려가게 하여 변화를 이끈다. 마음에서 우러나온 환대를 받았거나 어린아이처럼 즉흥적으로 온 영혼이 즐겁게 뛰노는 경험을 했다고 하자. 그런 경험을 이야기 하면 직접적이고 순간적이고 거룩한 초월적인 체험이 어느 정도 전달되고, 청자도 하나씩 그런 경험을 자신도 해 보면서 변한다.
교인들이 기쁨에 대해서 배우지 않고, 실제로 기쁜 경험을 하고 (감사를 표현하고, 친구를 만나고, 즐겁게 같이 놀고 등), 친절에 대해서 말로만 하지 않고, 실제로 내 귀한 것을 희생하면서 이웃에게 친절을 베푸는 실천을 해 나간다.
삶에 목적을 가지고 이런 기쁨, 친절, 온유, 인내, ...절제 등을 잘하는 기술을 체득해 나가면 passion(열정)이 생긴다. 열정을 가진 자는 가야 할 길(destiny)이 분명하므로 흔들리지 않고, 그 진리와 자유의 길에서 초월적 경험을 하게 된다. 그 경험이 내 성품을 변화시킨다. 초월이 내면화된다.
비정한 목사와 교인; 화내는 목사와 교인; 삿대질하는 목사와 교인; .... ; 욕망 덩어리 목사와 교인. ... 말짱 뻥이다.
갈 5장.
'주제 > 의례, 예배, 설교' 카테고리의 다른 글
너희가 세례를 받을 때에 참으로 믿었느냐? (0) | 2019.02.20 |
---|---|
[딜렘마] 한국교회 노령화와 장례문화 논의 (0) | 2019.02.07 |
1936. 5. 2. 주기철 설교 "목사직의 영광" (0) | 2019.01.27 |
Medium is Message (0) | 2019.01.26 |
1911 새벽 묵상의 시간(晨更, QT) 시작 (0) | 2019.01.19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