1914년 고고학자 고든 여사(Mrs. E. A. Gordon)는 "Some Recent Discoveries in Korean Temples and Their Relationship to Early Eastern Christianity," Transactions of the Royal Asiatic Society Korea Branch V(1914):1-39에서 4세기에 중국으로부터 불교가 고구려에 유입될 때부터 시리아 기독교인 경교가 들어온 증거가 곳곳에 있으며 (예, 고구려 첫 불교 사찰의 하나인 伊普蘭寺 = Ephraim 사; 백제에 온 마라난타는 시리아 주교가 보낸 기독교 선교사; 신라 경주에 온 불승 墨胡子는 black monk of Syrian Christianity로 추측된다), 그 일부 흔적이 금강산 장안사에 남아 있다고 주장했다.
관심자는 위의 논문을 클릭해서 읽어 보기 바란다.

도솔천
위의 논문에서 흥미로운 한 가지는 도솔천의 뜻이다. 도솔천(兜率天, Tuṣita)은 고대인도(불교)의 세계관에서 천상(天上)의 욕계(慾界)중 네 번째 하늘나라로, (天上4,000년=人間世 584,000,000년)의 머무름의 기간을 갖는다. 불교의 미래불인 미륵보살 메시아가 현재 거하는 곳이다. 한국의 동학에서도 메시아 사상이 강한데 그 이상향이 도솔천이었다. 그래서 동학의 한 분파로 불교적 특징인 강한 수운교는 그 본청이 도솔천이다. (사진 참조)
그런데 고든이 밝히듯이 산스크리트어 Tuṣita의 뜻은 Greek 헬라어의 εὐαγγέλιον = 기쁘고 좋은 소식 = Saxon 색슨어의 Gospel = a right and merry soud of joy = 漢文 한문, 일본어, 한글 = 極樂 = Infinite Joy 이다.


미륵보살
4-6세기에 삼국에 경교와 불교가 섞여서 유입되었다는 전제 하에서, 백제와 신라에서 발견되는 수많은 6-7세기의 미륵반가사유상과 미륵보살상 등의 걸작에는 과연 시리아-간다라 미술의 영향이 있을까? 미륵불= 미래불=메시아를 기다린 삼국인은 도솔천=복음을 기다리며 소망의 끈을 놓지 않고 아래와 같은 영원한 예술품을 남겼다. 신라 석굴암에서 발견되는 간다라 미술의 영향은 경교의 영향일까?

오늘 신문에 보도된 백제 미륵보살입상에는 경교의 흔적이 있을까? 의문을 해결해 줄 미술사가의 글을 기다린다.

춘향이가 기다린 이 도령은 천주교 신자들이 기다린 메시야였을까? 정감록이 기다린 정도령이었을까? 왜 6-7세기 백제와 신라에 미륵 불상이 폭발적으로 만들어졌으며 , 18-19세기 호남 땅에서 왜 정감록과 춘향전이 만들어지고 유행했을까? 왜 19세기말부터 호남 땅에 동학이 융성하고 정감록의 메시아를 기다리며 궁을가를 불렀을까?
사족: 불상을 보고 우상 숭배 운운할까 하는 노파심에서 한 마디 하면, 마음에 있는 온갖 욕심과 욕구를 차라리 이런 불상 하나에 집어 넣고 그 불상에게 절하며 자신의 욕망을 죽이는 것이, 그런 욕망을 숨긴 채 온갖 물질주의 맘몬 신을 따라 자기 배를 채우는 것보다 더 좋다.
ⓒ옥성득. 2018. 6. 4.
'연대 > 경교' 카테고리의 다른 글
한어 경교 전적 해석, 2019 (0) | 2019.12.12 |
---|---|
781 경교비가 소개한 예수의 탄생 (0) | 2019.04.21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