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최근 발행순)
옥성득. “전염병과 초기 한국 개신교, 1885-1919,” <종교문화학보> (2020.12); 1–36.
Kun-woo KIM. “Protestantism and the Design of South Korea,” Korea Journal (Dec. 2020): 30-57.
Paul S. CHA. “To Capture Minds and Wills”: Establishing Christian Radio Broadcasting in Cold War South Korea“ Korea Journal (Dec. 2020): 143-168.
Elizabeth UNDERWOOD. “Korean Sovereignty, Liberal Democratic Society, and the Underwoods, 1916–1951,” Korea Journal (2020.12): 86-114.
김지은. “개화기 한국장로교의 학교교육과 민족운동의 상관성 연구,” <신학지남> 87:3 (2020.12): 275–297.
임영빈, “한국 개신교와 탈종교화 -막스 베버의 합리화 개념을 중심으로,” <사회이론> (2020.11): 103-124.
이준우, “우원(友園) 이호빈(李浩彬) 목사의 신학사상과 통일 복지선교,” <한국기독교신학논총> 118 (2020.10): 489-536.
임희모, “미국 남장로교 의료선교사 오긍선 연구: 1907-1937년의 활동을 중심으로,” <한국기독교신학논총> 118 (2020.10): 363-402.
---------. “미국 남장로교 선교사 야곱 패터슨(Jacob Bruce Patterson)의 군산 예수병원 의료사역 연구(1910-1925),” <장신논단> 52:3 (2020.09:: 167-194.
안교성, “제1차 세계대전과 한국개신교: 식민지 전시교회를 중심으로,” <장신논단> 52:3 (2020.09): 33–60.
이혜정, “신자유주의와 종교관련 연구사 검토: 경제위기에 대한 종교계의 대응 모색,” <한국학> 43:3 (2020.09): 269–302.
최상도. “5·18민주화운동과 한국교회: 광주지역 교회의 활동, 연구동향, 향후 연구 과제를 중심으로,” <한국기독교와 역사> 53 (2020.09): 5–50.
이치만, “‘5·18민주화운동과 한국기독교 연구’를 위한 試論 - 사회변동의 상황에서 그리스도인의 역할에 대한 역사해석학,” <한국기독교와 역사> 53 (2020.09): 183-212.
손승호, “5·18민주화운동과 한국기독교교회협의회,” <한국기독교와 역사> 53 (2020. 09): 127-152.
유경남. “사회운동 관점에서 본 광주YMCA: YWCA와 5·18항쟁,” <한국기독교와 역사> 53 (2020.09): 153-182.
김상덕. “5·18민주화운동 40주년, 우리는 무엇을 보았고 보지 못했나: '세기의 재판'을 통해 살펴보는 정의와 화해의 과제,” <한국기독교와 역사> 53 (2020.09): 95-125.
고지수, “1980년 5월 광주와 김대중 구명운동, 그리고 자유공조 - 북미주 개신교 네트워크의 활동을 중심으로,” <한국기독교와 역사> 53 (2020. 09): 51-94.
이민희, “근대인의 눈에 비친 강화도의 제 모습,” <인천학연구> 33 (2020.08): 7–49.
이형규, “한반도 분단체제하 종교폭력에 대한 비판적 고찰,” <Asian Journal of Religion and Society> 8:2 (2020.07): 91-127.
이영미, “한국 관련 기록의 집대성-그리피스(William E. Griffis, 1843~1928)와 『은둔의 나라 한국』-,” <한국학연구> 58 (2020. 08): 41-72.
---------. “선교사에서 외교관으로: 알렌(Horace N. Allen, 1858~1932)의 삶과 한국,” <역사민속학> 58 (2020. 06): 241-271.
채병관, “한국 성공회의 유교 아비투스 -서울주교좌성당 사례를 중심으로-,” <종교연구> 80:2 (2020. 08): 63-92.
강인철, “한국 개신교와 보수적 시민운동: 개신교 우파의 극우·혐오정치를 중심으로,” <인문학연구> 33 (2020. 06): 3-30.
박영지, “태평양 전쟁기 『아이생활』의 친일 변화 과정에 대한 연구 -기독교 교단과 『아이생활』 편집진의 전향을 중심으로-,” <아동청소년문학연구> 26 (2020. 06): 239- 284.
한강희, “동북아시아 오이코스 구축을 위한 한·일 기독교 에큐메니칼 협력의 역사, 쟁점, 전망,” <선교와 신학> 51 (2020. 06): 253-289.
이혜정, “경주성서학원의 초기 역사와 신학교육,” <신학과 목회> 53 (2020. 06): 55– 80.
박성철, “한국교회 내 기독교 파시즘에 대한 비판적 연구,” <한국기독교신학논총> 116 (2020.04): 303-326.
홍승표, “일제하 한국 기독교의 독서운동과 교회도서관의 도입,” <한국기독교신학논총> 116 (2020.04): 227-265.
박용규, “가장 평범한 그러나 가장 비범한 : 루비 켄드릭(Ruby Rachel Kendrick)의 생애와 사역,” <신학지남> 87-1 (2020. 03): 145-194.
이고은, “조선성교서회의 초기 역사(1890-1919) 재고찰,” <한국기독교와 역사> 52 (2020.03): 89-131.
이재근, “대한민국 임시정부와 기독교: 상호관계의 유형과 특징,” <한국기독교와 역사> 52 (2020.03): 5-53.
차현지, “기독교인 장준하의 생애와 자유 · 민권 사상,” <한국기독교와 역사> 52 (2020.03): 133-178.
윤은석, “해방 이후 개신교 학교와 사회적 영향력: 대전 대성학원을 중심으로,” <선교와 신학> 50 (2020. 02): 357-390.
김혜정, “방효원, 방지일 선교사의 동일화 연구: 중국 산동의 선교사역을 중심으로,” <선교와 신학> 50 (2020.02): 159-188.
김기용, “서서평의 사회선교로 본 상황화 선교와 한국교회,” <선교와 신학> 50 (2020.02): 131–158.
박종현, “언더우드의 『찬양가』와 한국 근대 음악,” <신학 논단> 9:1 (2020.02): 50–84.
이숙진, “초기 한국 기독교의 교육 공간과 말하는 주체의 탄생,” <기독교교육 논총> 62 (2020): 227-255.
이혜원. “조선성교서회 초기 간행물에 대한 재 고찰: 1890~1900년을 중심으로,” <한국교회사학회지> 55 (2020): 499-535.
---------. “남감리회 조선 초기 선교에 있어서 중국인 여성 사역자들의 역할 - 1897~1905년 마슈전(馬秀珍)과 위츠두(余慈度)를 중심으로,” <한국기독교신학논총> 115 (2020.01): 147–184.
이상웅, “죽산 박형룡의 경건한 생애와 경건 이해,” <한국개혁신학> 65 (2020): 148–184.
안수강. “이홍주(李泓周)의 ‘도덕관’ 분석 - 그의 “良心의 威力”(1922)을 중심으로,” <한국기독교신학논총> 116 (2020.04): 133-160.
--------, “유경상(劉敬相) 목사의 '正義觀' 분석--그의 “正義의 力”(1922)을 중심으로,“ <한국기독교신학논총> 115 (2020.01): 91–118.
이인수, “한국 장로교회 성찬 예전의 인식형성 과정과 문제점,” <신학과 실천> 69 (2020): 173–207.
장금현, “프란시스 킨슬러(Francis Kinsler)와 성경구락부(Bible Club) 운동,” <신학과 실천> 68 (2020): 527-553.
전인수, “김교신 일보 연구: 김교신 일보가 살아남은 이유에 대한 역사적 추론,” <한국교회사학회지> 55 (2020): 357-387.
이경희, “대한기독교회(현 기독교한국침례회)의 우태호 사건 재평가,” <한국교회사학회지> 55 (2020): 389–424.
이은선, “강홍모 장로와 전주 영생학원의 설립과 운영의 역사적 의의,” <한국교회사학회지> 55 (2020): 425–460.
김명배, “일기와 선교편지를 통해 본 알렌과 헤론의 갈등에 관한 재 고찰,” <한국교회사학회지> 55 (2020): 461-497.
황홍렬, “3·1운동에 나타난 기독교적 정신과 한국교회의 선교에 대한 함의,” <선교신학> 57 (2020): 358–390.
고훈, “한국기독교사 연구 방법론과 세계 기독교 역사 기록학의 가능성 - 통합적 해석과 다학제적 방법론 부재를 중심으로,” <대학과 선교> 43 (2020): 61–92.
장석흥, “평양 3·1운동의 역사적 원류 - 근대적 민족 동력과 성장을 중심으로,” <한국학논총> 53 (2020):.
추가 보완 필요.
'연대 > 2020s' 카테고리의 다른 글
최근 한국교회(역사) 관련 추천서 (3) | 2022.04.24 |
---|---|
한국정치는 무교보다 혹세무민하는 예언이 문제 (1) | 2022.02.01 |
2020년 정리: 올해의 키워드 (0) | 2020.12.27 |
2020 올해의 한국교회사 책 (0) | 2020.12.14 |
기독교의 공공성/사회성 논의로 족할까? (0) | 2020.11.30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