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주제/문서, 성서, 번역

한글 띄어쓰기는 누가 시작했나?

실험자는 로스와 스코트, 도입자는 윤치호, 시행자는 독립신문

1896년 1월 윤치호는 Korean Repository에 띄어쓰기를 주장하는 글을 올렸다. 글의 마지막에 있는 저자 THY는 Tchi Ho Yun의 약자로 윤치호이다. 미국 유학 때 윤치호는 자신의 영문 이름을 Yun Tchi Ho 혹은 Tchi Ho Yun으로 표기했는데, 약자를 쓸 때 THY가 되어 미국인이 발음하기 좋고 기억하기 좋았다. 윤치호는 『삼국지』에 나오는 한 문장인 "장비가 말을 타고"를 예로 들면서 띄어쓰기가 없어서 "장비 가말을[가마를] 타고"로 잘못 읽을 수 있다고 지적하면서, 선교사들이 만드는 문장 등에는 새로 만든 단어가 많아서 한국인이 이해하기 어려워서 새 책을 읽지 않기 때문에, 쉼표나 띄어쓰기를 해서 가독성을 높여야 한다고 주장했다.
윤치호는 4월 6일 창간된 『독립신문』에 참여하면서 띄어쓰기를 한 첫 한글 문서인 신문을 발간하게 된다. 신문의 한글 논설은 서재필이, 외국 소식은 윤치호가, 영문 The Independent는 헐버트가 담당했다. 1896년 4월 7일 『독립신문』 창간호를 보면 띄어쓰기가 잘 되어 있다.
이보다 앞서 만주 영구의 로스(John Ross) 목사가 한국어를 배운 후 그 입문서로 출판한 Corean Primer(Shanghai: 1877, 1878)에서 한글을 단어 단위로 구분하여 표기한 적이 있었다. 그러나 로스는 이 책 이후 1881년의 『예수셩교문답』, 『예수셩교요령』이나, 『한국어, 문법과 용어』(1882), 그리고 첫 복음서인 1882년의 누가복음, 요한복음, 1887년에 출간한 신약전서인 『예수셩교젼서』에서 대구법만 채용하고 띄어쓰기는 채택하지 않았다. 따라서 로스를 띄어쓰기의 선구로 보기는 어렵다. 1877년 Corean Primer 책 한 권에서만 시도하고, 이후 시도하지 않았다. 존 로스 목사가 한글 띄어쓰기를 시작한 것은 아니다. 그는 한글 띄어쓰기를 처음 실험했다.
한국주재 영국총영사 스코트(James Scott)가 만든 한국어 교본dls A Corean Manual or Phrase Book, with Introductory Grammar』(1893)는 예문에서 띄어쓰기를 했다. 스크토의 한국어 교본 초판은 1887년 일본에서 출판되었고, 2판 증보판이 1893년 서울 영국성공회 활판소에서 간행되었는데, 2판은 당시 가장 수준 높은 한국어 교재였다.
이 책 역시 로스의 한국어 입문처럼 한글 문장 아래 영어 발음과 뜻을 썼으므로, 영어에 준해 한글도 띄어쓸 필요가 있어서 띄어쓰기를 도입했다. 두 한국어 교본은 외국인을 위한 교재였으므로, 한국인들이 띄어쓰기를 도입한 단계는 아니었다.
이런 외국인의 노력이 있고 난 뒤, 한국 내에서 공식 문서로 한글 띄어쓰기를 처음 주장한 사람은 윤치호였다. 1896년 1월 당시 외무협판이던 윤치호는 Korean Repository에서 띄어쓰기를 주장하고, 이를 4월에 창간된 『독립신문』에 적용했다. 당시 서재필, 헐버트, 윤치호 3인이 독립신문을 만들었기 때문에, 독립신문에서 시작된 한글 띄어쓰기는 윤치호의 주장을 수용한 결과였다. 곧 한글 띄어쓰기를 본격적으로 시작한 문서는 『독닙신문』이다. 창간호를 보면 단어 사이가 분명하게 띄어져 있고, 문단을 바꾸거나 왕을 높일 때에는 줄을 바꾸고 첫 칸을 비우지 않고 시작했다. 독립신문 창간호의 철자법을 보면 아래 아(ꞏ)를 적게 사용했다. 아래 아를 철폐하여 활자 수를 줄이자고 처음 주장한 사람도 윤치호였다. 다만 아직 마침표나 쉼표 등은 표기하지 않았다.
이어서 1897년 2월에 창간된 아펜젤러가 편집한 『죠션크리스도인회보』가 띄어쓰기를 수용하고, 언더우드가 편집한 『그리스도신문』이 띄어쓰기를 수용했다. 그리고 1897년에 출판된 신약 『바울이갈나대인의게ᄒᆞᆫ편지』 등 서신서들이 띄어쓰기를 성경 본문에 처음 수용하면서 한글 띄어쓰기가 정착된다.
 
--이미지: <독립신문> 창간호 첫 쪽, 1896년 4월 7일. 왜 순 한글로 신문을 내는지 설명
 
--일차자료: James Scott, A Corean Manual or Phrase Book, with Introductory Grammar (Seoul: English Church Mission Press, 1893, 2nd edition), T. H. Yun, "Comma or Spacing," Korean Repository (January 1896): 39.