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옥 교수의 글 /잡지 기고문, 연재, 논문

장로교회 분쟁: 김선두, 길선주, 변인서 목사 배척 사건, 1923-1934

평양기독교역사 9, <기독교사상>, 2019년 10월호.

1920년대는 분규, 파업, 동맹휴학의 시대였고, 장로교회도 안팎으로 투쟁과 분열의 시대였다. 밖으로 사회주의와 진화론으로 무장한 반기독교 운동과 대결하던 교회는 교회 분쟁, 미션스쿨 동맹휴학, 병원 간호사 파업이 지속되면서 내부 분열로 힘을 잃고 사회적 영향력을 점차 상실했다. 기독교 수용 40년 만에 쇠퇴기가 시작되었다.

이 글은 학교나 병원 분쟁은 제외하고 교회 분쟁만 다룬다. 1910년대 초에 시작된 교회 분열이 선교사의 권위주의에 반발한 한국인 목사들의 자유교회 운동이라면, 1920년대 중반 이후 10년간의 교회 분열은 노쇠한 당회(선교사, 한국인 목사와 장로)의 독재와 권위주의에 반발한 신세대 평신도들의 개혁 운동이었다. 교회 분규는 장로회 정치를 시험대에 올리고 교회론을 검토하는 계기가 되었다. 교회 분규 사태에 대해 기독신보는 침묵하고, 조선일보, 동아일보, 중외일보, 매일신보와 일본어 신문은 상세하게 보도하면서 반기독교 여론을 악화시켰다.

이 글은 일반 신문 보도를 중심으로 정리했으며, 지면 관계상 각주는 생략한다. 당회-시찰-노회의 교권에 대한 반발과 세대교체 문제는 현재 한국교회에서 재현되고 있으므로, 복기를 통해 역사적 교훈을 찾을 수 있을 것이다.

| 평양 서문외교회 김선두 목사 배척 사건, 1923

1923년 연초부터 서울 각황사에서 조선불교총무원과 조선불교중앙교무원 사이에 사무실 문제로 난투극을 벌인 사건이 신문을 장식하더니, 4월부터 평양 장로교회 분규가 보도되기 시작했다. 5월에는 대구 자치파(이만집 목사) 대 노회파(선교사파) 간 예배당 재산권 문제로 활극이 재연되면서 신문 사설에까지 등장하고, 11월에는 평양 회중교회 분쟁이 지면을 장식했다. 모두 건물과 부동산 재산 문제 싸움이었다.

19234월부터 평양 서문외교회(담임목사 김선두, 1876-1949)가 예배당 건축비 문제로 분쟁에 휩싸이면서 목사가 사임하는 사태가 발생했다. 교인들이 8년 동안 25,000(당시 목수의 하루 임금이 3)을 모아 1922년 초에 예배당을 시공하여 가을에 준공했다. 건축위원은 위창석, 김정칠 장로였다. 1922년 평양 장로교회는 서문외교회, 신학교, 숭의여중학교를 대규모로 신축하고 교세를 과시했다. 서문외교회는 교인 1,300여 명으로 평양에서 가장 큰 교회로 성장했다.

준공 후 부족한 3,000원을 위해 헌금을 모았는데, 건축위원이 낡은 목재를 팔고 장부에 기재하지 않았다는 의혹이 일어났다. 제직회는 회계 감사를 위해 박인관, 김광원, 김인준을 검사위원으로 임명했다. 411일 보고 때 낙서항에 기재된 1,180원이 발견되고 김정칠이 300, 위창석이 800여 원을 소비한 것이 드러나자, 당회를 불신임하는 교인들이 반발했다.

64일 주일 평양시찰의 보고 때 분쟁이 발생했다. 검사위원의 조사는 불충분했으며, 재검 결과 차액 90183전 중 36183전은 탕감하고 건축위원은 540원을 내놓으면 된다고 광고했다. 교인들은 하나님의 돈을 탕감하는 법이 없다며, “시찰원들이 색안경을 쓰고 조사하였다고 불신임하는 동시에 목사에게 사직권고까지하였다. 교인들은 건축위원과 김선두 목사와 정일선(鄭一善, 1891-1950) 동사목사가 돈을 먹었다.”고 생각했다. 이들은 경찰서에 불려가서 심문을 받았다.

이후 헌금이 줄면서, 목사의 월급이나 경비 지출이 어려워졌다. 9월 중순에는 정 목사가 목회지를 옮기기 위해 사임서를 제출했다. 김 목사는 분쟁 초기부터 사임하려고 했으므로 노회에 사임서를 제출했다. 1923104일 노회와 마페트 목사의 중재로 목사 유임과 교회 분가를 놓고 교회 공동처리회(공동의회)에서 두 목사의 사임건을 투표에 부쳤다. 그 결과 목사 유임, 제직 총 해임이 결정되자, 제직 총 해임 건으로 분쟁이 재점화되었다. 1018일 임시노회에서 길선주 목사 외 특별위원 9인의 의견대로 김 목사 사임을 수용하고, 제직 해임도 가결했다.

32세에 장로가 되고 노회장을 거쳐 총회장으로서 31운동 주동자의 한 명이었던 김선두 목사의 권위가 아직 살아 있는 상황이었다. 그를 지지하는 교인들은 1029일 공동처리회를 열어 노회 결정에 불복하고 총회 상고를 추진했지만, 일반 여론은 김선두 목사 부활 운동은 너무나 신통치 못하다고 비판했다. 결국 공동처리회는 열렸으나 노회 보고서만 낭독하고 끝났다. 노회의 결정대로 김선두 목사는 사임하고 선천으로 임지를 옮겼으며, 1927년 신성중학교 교장으로 일했다. 정 목사는 황해도 안악으로 가서 목회했다.

31운동 후 민족(정치) 문제가 사라지고 문명의 시대가 도래하자, 제도화된 사찰이나 교회는 대형 건물을 신축하기 시작했다. 돈과 성의 유혹이 교회 안으로 들어왔다. 시찰과 노회가 당회원의 도덕적 해이를 감싸주자, 평신도가 항의하는 시대가 되었다. 서문외교회 분쟁은 두 목사의 사임서를 노회가 수용하면서 일단락되었다. 당회파와 교인파의 갈등은 수면 아래로 잠시 가라앉았다. 민족의 사상을 선도할 교회가 그 사명을 망각하고 부정과 내분으로 쇠퇴기에 접어들었다.

한편 192311월에는 조선회중교회 평양 기성교회에서 서울 출신 신명균 담임목사가 배척을 당해 교회에서 사임했다. 그 이유는 (1) 사기적 수법으로 예배당 매매 시도, (2) 예배당 부속 가옥을 전세로 줌, (3) 예배당 일부를 숙박소로 이용, (4) 교인 반대에도 신흥학원 매입, (5) 신흥학원 수입 전용, (6) 목회에 태만, (7) 평양인 멸시 때문이었다. 목사가 하나님 대신 맘몬을 섬기고, 예배당을 사유화하여 숙박업을 하고 헌금을 유용한 사례였다.  

| 장대현교회 길선주 목사 배척과 교회 분립 사건, 1925-27

1924-25년에 사회주의자들의 반기독교 운동이 지속되면서, 평양 예수교를 비판하는 개벽(開闢)지의 예루살렘의 조선담론이 등장했다. 군산, 재령, 해주, 개성 등 주요 도시에서 반기독교 운동과 김익두 부흥회 반대 운동이 전개되었다. 북간도 용정촌에서는 김익두를 권총으로 위협하는 사태까지 벌어졌다. 평양 교인들은 반기독교 기사를 쏟아내는 개벽에 대해 불매 운동을 전개했다. 기독신보는 교회개혁 논설을 지속적으로 올렸다.

장대현교회는 19226월에 2년간 옥고를 치른 길선주(吉善宙, 1869-1935) 목사의 목회 15주년 기념식을 거행했으며, 19242월 말에는 평양의 장로교회 전체가 마페트(S. A. Moffett, 1864-1939) 목사 평양 도래 30주년과 회갑연을 거행했다. 그러나 19253월부터 길 목사를 향한 공개 비판이 시작되었다. 길 목사가 청주교회 사경회에서 다음과 같이 설교하자, 한 교인이 신앙의 자유와 평등을 논하며 그의 비논리적 언사를 비판하는 글을 동아일보에 기고했다.  

구한국 고관대작[유성준]들이 모두 예수를 믿는데, 군들은 그 사람들만 못하면서 왜 믿지 않느냐? 여기 있는 본 청주교회 목사로 말하면 구시절에 판사를 다녔으니 너희들에게 이리 오너라 저리 가거라 하면서 잡아다 볼기라도 칠 수 있으며 호령이라도 할 수 있는 양반으로 형제여! 친구여!’ 하는데, 왜 믿지 않느냐? 또한 여기 앉은 서양 목사로 말하면 벽돌 집에서 화려한 생활을 하는 그들로서 게딱지만 한 초가에서 등이나 박박 긁고 있는 너희들에게 간절히 형제여하고 말씀하여 주는데, 왜 믿지 않느냐?  

1926년에는 전국적으로 교회 분쟁이 일어났다. 성천교회에서 노동 상조회 간부 출교 문제로 전도사 설교를 방해하는 등 폭행이 발생했다. 이리교회에서 김중수 목사 배척 운동이 일어났으며, 재판 결과 목사는 해임되고 두 장로는 휴직했다. 평남 영유교회에서 치병 안수기도를 핑계로 목사가 여신도를 성추행하여 문제가 되었다. 장연교회에서 목사 반대파가 불량배를 고용해 사택에 침입하고 폭행하는 사태가 벌어졌다. 192611월 마산(문창)교회에서 박승명(朴承明, 1880-?) 목사의 여신도 성추행으로 분규가 일어났다.

평양 장대현교회 분쟁은 노년층과 청년층의 대결로 시작되었다. 1926년 봄 교회 정책에 항의하는 차원에서 찬양대 대원이나 주일학교 교사 청년들이 대부분 사임했다. 연말 공동처리회에서 회계와 사무처리에 모호한 부분이 있자 언쟁이 일어났으며 청년파에서 당회를 맹렬히 공격하였다. 19271월 박윤근 서리집사의 재임명을 놓고 노년층이 반발했다. 213일 장로 2인 선출 투표 때 청년파는 홍인규가 후보자가 되기 위한 득표를 받지 않았는데 후보가 된 것을 문제 삼고 당회의 부정 투표를 비판하여 투표는 이루어지지 못했다.

분쟁의 근본 원인은 새 것은 아직 자리를 잡지 못하고 낡은 것은 완전히 퇴치되지 못한, 사상적으로 과도기였기 때문이었다. 교회를 치리해 가는 목사 장로 등의 직분은 대부분이 노년이 되어 청년의 의견을 들어주지 않고, 고식적 교리 해석과 완고한 교회 정책으로 사회와 점차 길을 멀리 하게된 것이 주된 이유였고, 직접적 원인은 당회원 중에 신앙 생활에 용서할 수 없는 행동곧 기생집 출입이나 부동산 투기와 고리대금업을 하는 자도 있었는데 오히려 청년의 의사를 압박했기 때문이었다. “사회주의에 감염된청년들과 교도를 통솔할 능력이 없는 노장파 당회 간 소통은 쉽지 않았다.

분쟁이 격화되자 청년파 200명은 장대현교인유지회(有志會)를 조직하고 최후 수단으로 217일 길선주 목사, 변인서 목사, 당회원 전원의 사임을 요구하는 불신임 사직 권고서를 우편으로 발송하고 19일까지 답장을 요구했다. 유지회는 이 요구에 불응 시 전국 교회에 선언서를 배포하고 성토대회를 열어 노년파의 적폐를 청산하겠다고 발표했다. 일주일간 진남포 사경회에 다녀온 길 목사는, 투표 건은 실수이며 불만에 찬 청년들의 불건전한 신앙 때문에 불상사가 발생했다고 보았다. 청년파는 완고한 장로와 목사를 그대로 두면 교회가 퇴영하고 하나님의 뜻을 행할 수 없으므로 구세대를 퇴치해야 한다고 주장했다. 노년파는 부랑 청년들이 경거망동을 부끄러워하지 않고 분쟁만을 일삼아 하나님의 거룩한 사업을 그르친다고 반박했다.

시찰회가 조사하던 중, 당회가 35일 청년파 네 명(김영기, 김만형, 이병찬, 김관선)을 책벌하고, 6일 예배 때 변인서 목사가 이를 광고하자, 4명은 강단 위로 올라가 그 부당성을 말하려고 시도했다. 장로들이 제지할 때, 이 모 장로의 아들과 다른 청년들이 올라와서 네 명을 구타하면서 격투가 벌어졌다. 길 목사가 폐회를 선언했으나, 김만형은 책벌의 직권 남용을 비판하고 목사와 장로의 비행을 말했다. 수백 명이 두 파로 싸우는 모습에 여자 교인들이 통곡하자 모임은 해산되었다. 장대현교회 30년 역사에서 처음 발생한 분쟁 폭력 사태였다.

313일 유지회는 당회의 비행과 죄악 여섯 가지를 열거한 선언서 수천 매를 예배 전에 배포했다. 시찰회는 분규가 끝날 때까지 다른 교회 목사를 파송하여 예배를 인도하도록 조치했다. 13일에는 창동교회 이인식 목사가 설교했다. 331일 장대현교회에서 열린 임시노회는 당회파 500명을 대표하는 신하용, 홍인규, 윤유삼의 진정서를 수리하고, 사태 처리를 시찰회 7인 위원회(고려위 목사, 마포삼열 목사, 강우석 목사, 김동원 장로, 윤성운 장로, 이성휘 목사, 김선환 목사)에게 일임했다. 그 진정서는 소수의 유지파 청년들이 교회를 어지럽게 하므로 교회 질서를 유지하기로 굳게 서약한다는 내용이었다.

한편 19274월 당시 대구에서는 남성정교회 소유권 소송에서 자치파가 승리하고, 인위적 파벌제도의 타파와 자유신앙 정신통일로 종교개혁을 내세웠다. 마산에서는 박승명 목사가 사임하자 지지파와 선교사 중심의 반대파가 충돌하고 있었다.

장대현교회 분쟁은 특별시찰회 개최 후에도 파행과 대치가 지속되다가, 결국 노회의 결정으로 동사목사인 변인서 목사는 시골 교회에 임명되고, 길선주 목사는 19281월 성역 25주년 기념식을 거행하고 원로목사로 추대된 후 장대현교회 신도 500명과 함께 이향리교회로 분립하고, 반대파 청년들이 장대현교회를 떠남으로써 일단락되었다. 마산교회의 박승명 목사 사건, 장대현교회 길선주 목사 사건, 평북 용암포교회의 분규 등에서 보듯이 당회파와 평신도파의 분쟁은 교회 분립으로 귀결되었다.  

| 장대현교회 변인서 목사 분규, 1933-34

길선주 목사 후임으로 장대현교회 장로 출신인 변인서(邊麟瑞, 1882-?)가 담임목사로 취임했다. 변인서는 1912105인 사건으로 투옥되었다가 이듬해 신학교에 입학하여 1913년 장대현교회 조사로 일했는데, 1919-21년 길 목사가 31운동으로 수감 생활을 하자 그를 대신하여 장대현교회를 목회한 인물이었다. 앞서 언급한 1927년 길선주 목사 배척 분규 때 청년파에 가담했다가 사직하고 대동군 대동원교회를 잠시 담임했다. 그러나 길선주 목사가 분립해 나간 후, 변 목사는 장대현교회에 다시 부임했다. 1930년 노회장을 하는 등 4-5년간 교회에 평화가 회복되었으나, 1933년 봄에는 분쟁의 주인공이 되었다.

변 목사를 옹호하는 선교사들과 당회파, 그를 배척하고 길선주 원로목사를 옹립하려는 교인파 간의 갈등이었다. 분쟁의 직접적 원인과 과정을 보면 (1) 변 목사가 교회 재산을 부정하게 처분했다는 의혹 속에 (2) 44202명이 서명한 13개조의 당회 불신임안을 인쇄하여 교회와 일반에 배포하고 불신임안과 길 목사 청빙안을 당회에 제출하자 (3) 변 목사가 사임서를 제출했고 (4) 시찰회에서 사임서를 반려하고 유임을 결정했다. (5) 49일 오후 예배에서 마페트 시찰회장이 변 목사 유임을 발표하자 양 파가 충돌하여, 변 목사를 강단에서 끌어내리려던 이응찬과 이대화가 부상을 입었고, (6) 당회는 예배를 방해한 죄로 집사 백원군과 한영길, 전 집사 고덕영과 김준백 외 4, 8명을 치리했다. (7) 이에 불만을 품은 반대파 이원명 등 15명의 청장년이 51일 장문의 결의문을 발표하고 변 목사 사택을 야간에 습격하고 사직을 요구하면서 충돌하여 여러 명이 부상을 입었고, 경찰이 출동하여 이완명 등 8명을 검거하고 소동을 진정시켰으며, (8) 530일 산정현교회에서 열린 임시노회는 당회원 전원의 사표를 수리하고, 부상자 고소를 취소하는 선에서 타협하여 일단락되었다. 그러나 당회원들은 사표를 내면서 길 목사의 원로목사 사임을 조건으로 내걸고, 길 목사가 사퇴하지 않으면 예배 방해까지 하겠다고 강하게 나왔으므로, 길선주 목사도 사표를 제출했다.

세 달간 두 파는 휴전하였으나, 94일 당회 찬성파 240명이 예배를 드릴 때, 반대파 30여 명이 습격하여 난투극이 재연되었다. 반대파 김경호 외 3인은 부상을 입었다. 10월 중순에도 강단에서 유혈 쟁투가 일어났다. 당회는 해산되었다.

분규 1년째인 193441일 장로 선임 투표가 진행되었다. 투표 결과 10월에 사직했던 구 장로들이 재당선되었다. 이에 반대파가 강단에 올라가 사회와 설교를 맡은 신의주교회 윤하영 목사를 난타하고, 장로 옹호파 700명과 난투극을 벌였으며, 경찰이 출동하여 해산되었다. 옹호파 이양선과 한인원, 반대파 우량린과 박춘식 등은 부상을 입었다. 예배에 참석했던 선교사 15인은 무사히 빠져나갔으나, 반대파 청년들은 선교사는 즉시 귀국하라.”라고 요구했다. 반대파는 변인서 목사 불신임안 13개조를 제출하고 끝까지 버티는 목사를 비난했다. 옹호파는, 배척파가 소수이며 폭력을 행사한다고 비판했다.

결국 527일 정식으로 분교식(分敎式)이 거행되었다. 300여 명은 남고, 고덕영을 비롯한 250여 명의 반대파는 교회를 나와 이향리에 예배당 부지를 7,800원에 사서 새로 상수리(上需里)교회를 설립하고 독립했다. 이를 본 기자는 이로써 분쟁은 중단될 것이나, 기독교를 믿는 양 파의 반목은 사라지 않으리라 한다.”라고 평했다.  

| 결론

1890년대부터 성장한 교회는 1920년대에 1세대 지도자들이 노령화되면서 신구 세대 간 갈등이 야기되었다. 마페트의 경우 1890년 내한 때 25세였으나, 192560세가 되었고, 길선주는 1895년 개종 때 26세였으나 30년의 세월이 지난 후 눈 장애로 독서에 한계가 있어서 새로운 지식을 전하기 어려웠다. 구세대가 교권을 장악하고 교회 질서만 내세운 채 청년들의 의사를 수용하지 않은 것이 분쟁의 첫 원인이었고, 새로운 사상에 젖어 감정을 앞세운 청년들의 과격한 행동으로 결국 교회가 분립하는 파국으로 치달았다.

교회 분쟁은 헌금하지 않고 주일을 지키지 않는 의무 잃은 신자’(오늘날 소위 가나안 성도’)를 대량으로 양산하는 현상을 낳았다. 1916년 북장로회 해외선교부 스피어 총무는 평양 장대현교회를 재방문했는데, 당시 교인 2,000명 중 1897년 방문 때 자신을 본 사람은 16명뿐이라는 사실에 놀랐다. 그는 1926년 방문 때에도 동일한 현상을 경험했다. 한 해 5,521명이 세례를 받고 입교했으나, 입교자 중 사라진 자가 7,447명으로 사망자를 고려해도 많은 수의 기존 교인이 교회를 떠나고 있었다. 1916-2710여 년간 인구 400만이 증가할 때 예수교인은 20만 명이 줄어(7.5% 감소) 전체 인구의 1.4%로 축소되었다.

기독교계 내분의 세 가지 원인은 선교사와 한국인의 갈등, 구세대(한문 유학 세대)와 신세대(일본어 신교육 세대)의 갈등, 노회주의(목회자)와 회중주의(평신도)의 갈등이었다. 교회가 발전하고 교세는 성장했으나 점차 교회의 주인은 사람이 되었다. 목사와 장로는 토지와 건물 장사를 하고, 교회에는 물질의 축복만을 비는 기도가 성행했다. 사회적 지위가 있고 돈 있는 사람이 장로가 되었다. 교회에 물질이 넘치자, 자유와 평등과 정의는 사라져갔다. 교회가 교회만을 위해 존재할 때, 분쟁과 분열이 일어났다. 실망한 청년들이 교회를 떠났다. 의무(주일성수, 연보) 잃은 가나안 성도가 늘었다. 그때 신사참배의 서늘한 칼이 목에 들어오자 교회는 두 손을 들고 항복할 수밖에 없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