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주제/문서, 성서, 번역

(54)
쉐핑의 전기가 실려 있는 Glorious Living, 1937 [나의 애장서] Sarah L. V. Timmons, Glorious Living, 1937 1937 Lois Hawkes Swinehart, "Elise Johanna Shepping," complied by Hallie P. Winsbrough and edited by Sarah L. V. Timmons, Glorious Living: Informal Sketches of Seven Women Missionaries of the Presbyterian Church, U. S. (Committee on Woman's Work, PCUS, Atlana, GA, 1937), pp. 145-186. 1937년 남장로회 여자 선교사 스와윈하트가 유려한 필체로 쓴 쉐핑(서서평, 1880-1934)의 짧은 전기가..
Quarterly Review (July 1817) [나의 애장서] Quarterly Review (July 1817) 이 200년 전 잡지에는 다음 두 책을 선별해서 싣고 요약 정리하는 긴 글(pp. 463-506)이 담겨 있다.Henry Ellis, "Journal of the Proceedings of the late Embassy to China" (London, 1817), 526 pages; John McLeod, "Narrative of a Voyage in His Majesty's late Ship Alceste to the Yellow Sea, along the Coast of Corea..." (London, 1817), 284 pages.동인도회사 문제로 황제를 알현하려던 중국대사 앰허스트 경(Lord Amherst)은 황제에게 고두(..
The Missionary Review of the World, 1885-1939 [나의 애장서]The Missionary Review of the World, 1885-1939.  대부분을 원본으로 가지고 있다. 원본이라야 선명한 사진을 스캔할 수 있다.   사진에는 1915-1920년 치.한국기독교사 연구에서 미국 선교잡지와 신문이 중요한데, 그 중에서도 반드시 읽어야 할 것 하나만 선택하라면 이 잡지이다. 한국 관련 기사만 보지 말고, 전체 1년치를 대충이라도 넘기면서 세계 선교의 흐름과 주요 이슈를 파악하는 게 필요하다. 곧 삼일운동 100주년이기도 해서 100년 전 연도에 해당하는 권들을 책장에서 뽑아 찍었다. 이런 잡지는 1년에 한두 번 먼지를 없애고 책장에 꽂아두는 게 좋다.하드카버 원본은 구하기 어렵기 때문에, 온라인에서 무료로 1888-1925년 치까지 볼 수 있다. ..
Five Hundred Dollar Whiskers 슈염 오백원 자리 [나의 애장서] Charles L. Phillips, Five Hundred Dollar Whiskers 슈염 오백원 자리 (개인출판, 1967) 프린스턴신학교를 졸업한 후 1910년 평양에 와서 1940년 추방될 때까지 30년 간 사역하고 해방 후엔 다시 내한해 194-50년 서울에서 일한 후 은퇴했던 필립스 선교사의 자서전적 회고록.1930년대 좌각원(House for the Cripples)을 세워 다리를 저는 이들의 복지원을 운영했다. 그래서 병든 자, 아픈 자 가운데 일하시는 성령의 능력을 증거하는 선교사가 되었다.책 제목의 뜻은 1935년 경 김익두 목사가 부흥회를 인도하던 중 교회 건축 헌금을 할 때, 어떤 콧수염이 멋진 노 신사가 거금 50엔 헌금을 약정하자 모든 교인들이 놀랐다. 그러나 ..
바늘과 실 한 개라도 늘인 풀이역[paraphrasing translation for dynamic equivalence]의 한 예 지도자의 한 덕목 아브람. 창세기 14장 18-24. 18 살렘왕 멜기세덱이 떡과 포도주를 가지고 나왔으니 그는 지극히 높으신 하나님의 제사장이었더라 19 그가 아브람에게 축복하여 가로되 “천지의 주재시요 지극히 높으신 하나님이여 아브람에게 복을 주옵소서 20 너희 대적을 네 손에 붙이신 지극히 높으신 하나님을 찬송할찌로다.” 하매 아브람이 그 얻은 것에서 십분 일을 멜기세덱에게 주었더라. 21 소돔 왕이 아브람에게 이르되 “사람은 내게 보내고 물품은 네가 취하라.” 22 아브람이 소돔 왕에게 이르되 “천지의 주재시요 지극히 높으신 하나님 여호와께 내가 손을 들어 맹세하노니 23 네 말이 내가 ..
말모이. 선교사들의 사전 만들기, 1890-1931 번역과 사전 최근 조선어학회의 영화 가 화제다.그들의 한글 사전이 가능했던 이유는 그 이전에 선교사들의 한글 사전 작업이 있었다.한글 성경과 한글 서적을 출판하기 위해서는 사전이 필수적이었다. 지난 여러 해 동안 한국 문학 전공자들이 근대 이중어 사전들(1880-1931)에 대한 연구를 부쩍 늘리고 있다. 우리가 사용하는 현재 어휘, 문법, 한국어가 언제 형성되었는가를 연구하다 보면, 결국 개화기와 일제 시대의 사전과 문법서를 보아야 하기 때문이다. 그 형성사에 나타난 근대 한국어의 다층 구조를 보려는 것이다. 번역은 그 나라 언어를 만드는 중요한 요소이다. 다음 표를 보라. 다음 책들이 참고가 된다. 1. 황호덕 교수의 책과 글 2. 이상현, , 소명, 2012 3. 그외 당시 이중어(한국어) 사전에 ..
1905 성경강론 월보 셩경강론월보 Sunday School Lesson Monthly 융희 3년인 1909년 3월 15일에 발행된 월보를 보자. 첫 두 페이지와 [중간은 생략] 마지막 쪽 광고이다. 영어 제목에서 보듯이 전국의 교회 주일학교 공과에 대한 교사용 지도서로 매달 15일에 발행되었다. 매주 시행한 주일학교 성경공부 안내서로, 한 달 네 주 과목에 대한 설명을 실었다. ​발행처는 1905년에 장로회와 감리회 6개 선교회가 연합하여 조직한 대한예수교복음주의공의회 (General Council of the Protestant Missions in Korea)로, 이 월보가 전국 개신교가 공통으로 사용한 것을 알 수 있다. 곧 당시 교회연합 운동의 한 산물이었다. 곧 한국예수교회 전체의 주간지는 , 월간지는 였다. ​따라..
한글 성서 공인역본 계보도 [한글 성경 공인역본 계보도]1882년 로스역본 한글 누가복음과 요한복음이 나오고 1887년 가 나온 후2020년 계획된 까지 복잡한 계보도를 단순화했다.저본이 되는 히브리어와 그리스어 성서는 빼고 영향을 준 주요 역본을 함께 그렸다.가톨릭은 2005년 을 출판해 공동번역에서 독립해 나갔다. 이 나올 때 한국개신교가 을 버리고 을 예배용으로 채택할지 관건이다.청소년과 청년층이 급격히 줄고 있는 위기 상황이므로 을 수용하지 않을 수 없을 것이다. 몇 개의 사역본과 함께 역본이 좋은 번역으로 나오기를 기대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