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인물/김교신

全的 기독교

우치무라 간조와 김교신-- 역사적 관점

内村鑑三(1861-1930년)과 김교신(1901-1945)의 나이 차이는 40세요, 김교신은 우치무라 사후에 15년을 더 살았다. 따라서 1920년대의 김교신이 내촌의 무교회주의를 계승하고 성경적인 순수 복음의 기독교를 전하려는 측면이 강했다면, 1930-45년의 김교신은 좀 더 조선적 기독교, 30년대의 상황에서 나온 새로운 독자적인 면이 있을 것이다. 20년대에는 내촌과의 연속성(continuity), 30년대는 내촌과의 비연속성(discontinuity)의 관점에서 보면 좋을 것이다.

즉 1930년 이후의 김교신의 자료를 읽을 때에는, (1) 내촌이 경험하지 못했던 만주사변(1931), 중일전쟁(1937), 교회의 신사참배(1935-45), 태평양전쟁(1941-45)이라는 조선의 정세, (2) 내촌에게 많은 영향을 준 독일루터교회가 1930년대 히틀러 치하에서 국가 종교로 타락해 간 역사적 상황을 고려해야 한다.

스승과 제자의 사상에 차이가 없을 수 없다. 일본과 조선의 상황이 같을 수 없었다. 신학은 상황에 토착화한다. 무교회주의가 현해탄을 건너오고 시공간이 바뀌었다면, 그 연속성과 함께 비연속성을 강조하는 게 마땅하다. 그게 역사가가 중시할 점이다.

오늘 한국기독교역사연구회 발표회에 시간이 없어 참석은 못했지만, 논문과 논평을 읽고 느낀 점을 쓴다. 김교신의 '전적 기독교'라는 말은 내촌에게는 없는 김교신이 만든 새로운 용어였다.

한국에서 1920년대에 '전적'이라는 말이 사용되기 시작했다. 그 말의 반대는 '개적'이었다. 전체와 개별, 둘의 관계는 무엇인가가 철학적 문제로 논의되기 시작했다. 개별적, 부분적인 기독교란 곧 사적, 가족적, 교단적, 지역적, 부족적, 국가적 기독교이다. (그 부분적 전체로 참 신앙을 가진 개인을 억압하면) 거짓 기독교이다. 전체주의에 포섭되어 전적인 복음이 되기를 포기한 독일루터교회는 다가올 조선교회, 신사참배할 교회의 미래였다.

전적 기독교란 복음의 전체를 드러내는 기독교, 전 인류를 위하면서 (천하보다 한 생명을 귀하게 여기는) 원래 기독교를 말한다. 참 기독교, 진정한 기독교, 보편적 기독교이다.

요즘 말로 하면 사적 기독교가 아닌 공적 기독교이다. 김교신은 국가에 충성하는 기독교로 타락해 가는 독일 루터교회와 조선교회를 보면서 '전적 기독교'라는 말을 창안해서 사용했다.

또한 '전적'은 기존 질서 파괴적인 부정적 측면과 새로운 질서 창조적인 적극적 측면을 포괄하는 용어였다. 타락한 교회를 개혁하고 진정한 기독교를 만드는 것이 전적 기독교의 뜻이었다. 

"우리의 희망은 거대한 사업 성취나 신령한 사업 헌신에 있는 것이 아니라, 진실한 인물의 출현에 있다. 비록 그가 그리스도처럼 세상에서 참패하더라도, 참 의미에서 하나님을 믿고 하나님과 더불어 생각하고 노동하는 자라면, 조선의 희망이 전적으로 그에게 있다."(김교신, "조선의 희망," 1937)

오늘 김교신이 살아 있다면 그는 사유화한 '세습 기독교'와 맘몬을 섬기는 대형 '사업 기독교'와 권력지향의 '정치 기독교'에 대항하는 말로 '전적 기독교'를 사용했을 것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