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분류 전체보기

(781)
밀러 목사 가족 [한국교회사 사진 오류 수정] 이 사진의 인물들은 누구일까요? 1. 유진 벨 가족은 아닙니다.2. 언제 어디서 촬영했을까요? 한국이 아닙니다.서울에서 활동하던 밀러(Frederick Scheiblin Miller 閔老雅, 1866-1937) 가족 사진이다. 부인 안나(Anna Reinecke Miller, 1865-1903)가 1903년 6월 17일 복막염으로 별세했으므로, 그 전에 촬영했다. 촬영시기와 장소를 짐작해 보면 1899년 피츠버그이다. 사진의 아이들은 장녀 리세트(2세)와 장남 윌리엄 뉴톤(4세)이다. 부인은 1891년 사진의 옷과 동일한 것을 입고 있다. 1898년 10월 아들을 잃고나서 1899년 4월 부인의 고향인 피츠버그로 안식년을 휴가를 갔는데 이때 찍은 듯하다. 집 모습이 미국 현..
1921-22 목포, 신혼의 HOPPER 목사, 두 아이 출산을 광주와 군산에서 2024년 6월 1일 이재근 교수가 한국기독교역사학회에서 발표한 "미국 남장로회 하퍼 선교사 가문의 한국 생활과 선교사역: 전형과 비전형"에 따르면, 하퍼 부부(조셉과 애니스)는 1919년 12월 18일 결혼 후 내한하여, 1921-22년 다음 표 2세대에 있는 두 아이를 낳는데, 1921년 5월 17일 아들 조셉 배런은 광주 제중원에서, 1922년 11월 22일 딸 마디아 메리 알렉산더는 군산 구암병원에서 출산했다. 목포에도 병원이 있었는데, 왜 첫째는 광주에서, 둘째는 군산에서 출산했을까?2-3년 후 잘 자란 아이들. 그 이유는 두 가지로 추정할 수 있는데, 첫째, 1921-22년에 목포 제중원에는 의사가 없었고, 1922년에는 광주에 의사가 있었지만 아마도 그가 산부인과 쪽이 아니었기 때문이다. 부..
1909 남장로회 선교지부별 통계 1909년 남장로회 한국선교회 연례회의 선교지부 보고서 말미에 실린 통계이다. 한국 교인 수만 보면 전주(6,000명), 광주(5,000명), 군산(2,900명), 목포(2,500명) 순이다. 순천은 아직 개척되지 않아 광주에 속했다. 보고서는 요코하마 복음인쇄소에서 출간했다.
소래교회와 구미포해수욕장 위치, 지도와 사진 장연군 대구면 소래리(송천리). 장연에서 소래로 가려면 산을 돌아서 가야 했으므로 조금 멀었다. 서울-해주-소래 길은 멀지만 편했다.지도 1 대동여지도에 서울-소래 길을 표시하면 (1880년대와 1890년대 길)사진 1. 구미포곶 (소래곶) 위의 선교사 별장, 1910년대.    사진 2. 선교사 별장 1925년.     사진 3. 소래비치, 1915년선교사들은 소래비치로 갈 때 배를 이용해 인천에서 해주로 가서 걸어가거나, 옹진을 돌아 소래 부근 항에 내렸다. [후자는 더 조사 필요.)지도 2. 1950년 한국전쟁 당시 지도에 표시하면원 지도 출처   https://www.koreanwar.org/html/maps-utex.html  Korean War Maps - AMS L552 1:250,000 S..
1942 서간도 북간도 기독교 지역 서간도--흥경에 미국북장로회 선교지부, 강계 선교지부와 연관북간도--용정에 캐나다연합교회 선교지부, 회령 선교지회와 연관 만주농산공사, "만주국 약도"  https://iiif.lib.harvard.edu/manifests/view/ids:475303027
1945-46 전주, 군산, 광주, 대구, 개성, 회령, 부산, 서울, 대전, 이리 도시 계획도 1. 전주2. 군산3. 광주4. 대구5. 개성6. 회령7. 부산8. 서울9. 대전10. 이리https://collections.lib.uwm.edu/digital/search/searchterm/Korea
1906 「議會通用規則」, 윤치호 역 윤치호가 번역한 「議會通用規則」은 단행본으로 1898년에 발간되어 독립협회에서 사용했으나, 정치 변동으로 사용이 금지되다가, 1905년에 다시 유통되었다. 그 전문은 『대한자강회월보』 1906년 제4호(1906년 10월 25일): 67-79에 실렸다. 이를 연구한 유충희 논문의 초록을 먼저 보고, 전문을 보자.-------------------------------유충희, “개화기 조선의 民會 활동과 「議會通用規則」 ― 「의회통용규칙」의 유통과 번역 양상을 중심으로,” 『동방학지』 167호 (2014): 1-32.[초록]윤치호는 1897년 7월부터 독립협회에 참여하여 토론회와 연설회의 도입을 통해 협회를 정치단체로 변화시키는 역할을 한다. 그는 토론회를 조직하는 실무적 차원에서 협회 조직을 변화시켰을 뿐..
東朝鮮 : 一名元山案內, 1907 제8장 교육과 종교원산매일신문사 편찬, " 제8장 교육과 종교," Higashi Chōsen: Ichimei Ganzan Annai> ( Ganzan: Ganzan Mainichi Shinbunsha, 1907), pp. 200-210.  제8장 교육과 종교, 200-210쪽