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분류 전체보기

(780)
성경 번역본으로 본 하나님 용어 성경 번역본으로 본 하나님 용어 1) 개인본과 번역위원회(성서공회)본 2) 임시본과 공인본(임시본을 3년 이상 사용 후 공인) 성서공회의 공인본이 예배용으로 사용된다. 한글 성경에서 로스본(1882-1893)은 개인본이었고 임시본이었다. 1887년 신약전서 도 임시본으로, 오래 사용되지 않았다. 한글 성경 신약전서의 위원회본 임시본은 1900년에 처음 발간되었고, 그 공인본은 1906년에 처음 출간되었다. 이를 구역본이라고 한다. 구약은 1911년에 발간되었다. 그때 채택한 하ㄴ .님은 전통적인 고유명사 하느님에 기독교의 하늘성+ 유일성+ 위대성+삼위일체성이 가미되어 새로 만들어진 신(新) 용어였다. (고유명사에서 일반명사로 바뀌었다. God는 고유명사나 이름이 아닌 일반 명사이다.) '하느님'은 188..
2020년 이후 별세하신 분 내 주변이나 어떤 의미로든 내게 영향을 준 분들, 소천 소식을 들을 때마다 죽음을 생각한다. 지난 4년간 돌아가신 분을 정리해 보았다. 대개 학자나 목회자들이다. 민경석 교수, 1940. 8. 11 ~ 2020. 8. 11 (80세) 김홍도 목사, 1837. 2. 6 ~ 2020. 9. 2 (83세) 김용섭 교수, 1931. 10. 8 ~ 2020. 10. 20 (89세) 박순경 교수, 1923 ~ 2020. 10. 24 (98세) 박창환 교수, 1924. 3. 17 ~ 2020. 11. 15 (96세) Rev. George E. Ogle, ~ 2020. 11. 15 (91세) 김용복 교수, 1938. 11. 1 ~ 2021. 4. 7 (83세) 조용기 목사, 1936. 2. 14 ~ 2021. 9. 1..
하나님 용어 논쟁 CBS 잘잘법, "하느님이냐 하나님이냐?" https://www.youtube.com/watch?v=7rH7PdujDqk&t=1s
3.1운동으로 기독교가 성장했을까? [삼일절이 다가오니] 질문: 3.1운동으로 기독교가 성장했을까? 많은 교회사 책과 교회사가들이 그렇게 주장하나, 사실이 아니다. 삼일운동에 적극 참여하고 교육사업에 투자한 감리교회는 마이너스 성장을 했다. (1) 1910-15년; 조선 내 인구 증가 786,221명 = 4.75% 증가 북장로회 60,000 --> 65,000명으로 증가, 8.3% [인구 증가율 상회] 북감리회 25,000 --> 21,000명으로 감소 남감리회 10,000 --> 7,500명으로 감소 합계 95,000명 --> 93,500명으로 마이너스 성장 캐장, 남장, 호장 다소 성장했으나, 전체적으로 인구 증가율에는 미치지 못했다. (2) 1915-20년: 조선 내 인구 증가 527,226명 = 3.04% 증가 북장 65,000 -..
용어문제에서 중요한 두 구절 요한복음 10장 34절과 요한복음 20장 28절에 나오는 신명을 히브리어, 그리스어, 한자어, 일본어, 한국어로 정리해 보면, 엘로힘, 야훼를 테오스, 키리오스; 상제, 신, 주; 신, 하느님, 하나님, 주, 천주 등으로 어떻게 번역했는지 확인해 볼 수 있다. 한 번 성경 구절을 적어보고 번역해 보라. ​1. 요한 10:34b I have said you are gods. ---이 구절은 시편 82:6절의 인용으로 히브리어로는 엘로힘이다. 따라서 그리스어 신약에는 테오스로 번역되어 있고, 영어 성경들은 모두 gods로 했으나, 한문 성경은 상제, 일본어 성서는 신, 한글 성경들은 모두 신(들)으로 번역했다. ​2. 요한 20:28 My Lord and my God! 1) 히브리어 야훼를 그리스어 70인역..
주시경과 한 하나님 주시경과 게일 어원적 유일신을 하ᄂᆞ님을 새 용어로 만들다 1900년 게일(J. S. Gale)은 하ᄂᆞ님에 대한 새로운 어원적 연구를 소개했다. 서울의 한글 학자인 주시경(周時經, 1876­1914)과 함께 국문(國文)을 연구하던 게일은 토론을 통해 한국인들의 하ᄂᆞ님 이해에 대한 새로운 설명을 들을 수 있었다. 주시경은 1896년 배재학당의 학생회인 협성회(協成會)의 찬술원으로 피선되어 이승만 등과 함께 순 한글 「협성회회보」를 편집하면서 한글에 관심을 가지게 되었다. 이어서 「독립신문」 교정원으로 일하면서 한국어와 한글을 연구하기 위해 신문사 안에 국문동식회(國文同式會)를 결성했다. 주시경은 「독립신문」 1897년 9월 25­26일자에서 문법 통일과 사전 편찬을 제안했다. 그는 1898년 6월에 배..
1897년 독립신문의 종교론과 하나님론 1897년 1월 26일자 논설은 여러 종교를 비교하면서 애니미즘을 야만의 종교로, 우상의 종교인 불교, 일부다처제의 종교인 이슬람, 정치학과 윤리학인 유교, 조상과 짐승을 섬기는 어리석은 풍속인 일본 신도는 반개화의 종교라고 비판하고, 그리스도교 안에 구교와 신교와 희랍교가 있지만 신교 국가가 가장 개화되었다고 서술했다. 이 논설은 당시에 유행하던 야만·반개화·개화라는 문명 3분설을 채용하여 한 나라의 종교에 따라 개화 수준이 결정된다고 주장했다. ᄋᆡ푸리가에 잇ᄂᆞᆫ 야만[野蠻]들의 교ᄂᆞᆫ 산과 물과 불을 위ᄒᆞ고 혹 ᄇᆡ암과 큰 즘승들을 두려워 귀신으로 위ᄒᆞ며 아셰야 셔편에ᄂᆞᆫ 모화메든 교가 잇서 그 교에서ᄂᆞᆫ 하ᄂᆞ님을 텬부로 ᄉᆡᆼ각은 ᄒᆞ되 모아메든이란 사ᄅᆞᆷ을 하ᄂᆞ님의 ᄉᆞ신으로 위..
하나님 용어문제에서 한국인의 역할 1895-1904년 용어문제 논쟁 과정에서 문서를 남긴 이들은 대개 선교사이므로, 그들의 견해는 자세히 소개되어 있고 논의가 정리되어 있다. 선교사들이 성서위원회 번역자회 회원으로서 용어를 결정하는 권한을 가지고 있었으므로 1차적으로 그들의 견해와 이해가 중요했다. 그러나 과연 한국인들은 침묵하고 수동적으로 선교사들의 결정을 수용했을까? 다음 책에서 나는 한국인들이 논쟁 과정에 직간접적으로 개입하여 원시 유일신에 바탕한 하나님을 적극적으로 지지하고 기독교의 하나님으로 신학화하는 작업에 참여했음을 논했다. 한국인 교인들과 지도자들이 원했기 때문에 하나님으로 갔다. 선교사들은 자신들의 조사들이나 주시경과 같은 신흥 한글학자들로부터 하나님 개념을 배웠다. 선교사들의 결정만 기다리고 앉아 있을 한국인들이 아니었..