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1866년 평양 양란(洋亂)과 토마스의 순교, 그 해석사 (1) (2) 옥성득, "1866년 평양 양란(洋亂)과 토마스의 순교, 그 해석사 (1) (2)," (2018. 12) ; (2019. 1): 187-200. 평양 기독교 역사는 1866년(병인년, 고종 3년) 9월의 평양 양란(제너럴셔먼호 사건)과 토마스(Robert J. Thomas, 1840-66) 목사의 죽음으로 시작된다. 지난 150년간 토마스 사건은 몇 번의 계기를 통해 재구성되면서, 신학교 교회사 교수 중심의 ‘선교사–순교설’과 일반대 한국사 교수 중심의 ‘제국주의자–처형설’이 대립하는 뜨거운 감자가 되었다. 해방 이전에는 토마스의 죽음을 무모한 선교로 비판하다가 순교로 기념하는 쪽으로 바뀌었고, 해방 이후에는 찬양–비판–찬양이 교차하고 있다. 평양 교회사는 출발부터 논쟁사인 셈이다. 이 글은 자료 문제를..
1925 '조선의 예루살렘 평양’ 담론의 실상 옥성득. "‘조선의 예루살렘 평양’ 담론의 실상." 기독교사상, 717 (2018.9): 9-18.
편역서 21권 저서 4권 1. 2009 韓半島 大復興 (홍성사, 431쪽) 2. 2013 The Making of Korean Christianity (UBP, 450쪽) 3. 2016 다시 쓰는 初代 韓國敎會史 (새물결플러스, 557쪽) 4. 2016 첫 事件으로 본 初代 韓國敎會史 (짓다, 408쪽) ...........................................................계 1,846쪽 편역서 21권 1. 2004a Historical Documents of the Korean Bible Society. vol. I: Correspondence of John Ross and Correspondence of Henry Loomis. Seoul: Korean Bible Society ..
1961 광나루 장신 광나루로 옮긴 장신대의 모습공중 촬영, 1961허허벌판인 강남으로 건너가는 광진교가 선명하고, 학교 주변에 집이 별로 없다. '광나루'라는 지명을 한 눈에 볼 수 있다. 신학교가 남북을 잇고 새로운 공간으로 나아가는 구원의 넓은 다리가 되어야 한다는 뜻을 계승하고 있을까? Aerial view of Presbyterian College and Theological Seminary (Tonghap) after re-locating to Seoul at Kwangjang Dong, Kwangjin Ku, 1961 @Moffett Collections, PTS
사회적 기독교 "사회적 목회" / "사회적 교회" / "사회적 기독교"교회가 침체 쇠락하던 1920년대에 이미 유행했던 대안이다. 1926-29년도 교계 신문이나 잡지를 펼쳐 보라.사회 문제---생업 문제, 경제 자립 문제, 실업 문제, 계급 문제, 청년 문제, 여성 문제, 농촌 문제, 노동 문제, 민족 문제, 이민 문제, 술 문제, 공창 문제, 마약 문제, 이혼 문제, 비행 청소년 문제, 자본주의 문제 등등 --를 해결하는 기독교를 엄청 토론했다.영어 책, 일본어 책도 번역 출판하고, 세계 여행도 하고, 동아시아나 세계 여러 나라와 교회와 비교하면서 지적 지평을 넓혔다.가가와 도요히꼬(하천풍언)도 소개되었다. 조선의 간디 조만식 장로가 '경제 민족주의'인 물산장려운동도 전개했다.시대와 병진하는 교회, 과학과 종교의 ..
1919 삼일운동과 길선주 삼일운동과 길선주 33인 중의 한 명인 길선주 목사가 선언서에 찍을 도장만 빌려주고 사경회 약속 때문에 3월 1일 서울 태화관 선언식에 참석하지 않고, 그날 감옥에도 가지 않았다고 비판하는 글이 있다. 그러나 하나만 알고 둘은 모르는 소치이다. 길 목사는 2월 20일 가정 예배를 마치고 예정된 사경회를 인도하기 위해 장연읍으로 떠났다. 그는 은혜 중에 사경회를 마치고 사리원을 거쳐 서울로 향했으나, 기차가 연착하는 바람에 3월 1일 오후에 서울에 도착, 독립선언식에 참석하지 못했다. 길 목사는 서울역에서 관헌에게 자기 정체를 밝히고 곧 바로 서대문 감옥에 투옥되었다. 동료들이 있는 감옥 안이 영광의 자리였기 때문이다. 십자가 신학이었다. "Rev. Kil Sunju, Pastor of the Centra..
네 가지 마음의 적(빚) 영혼을 망치는 네 가지 원수: 네 가지 빚무릇 지킬 만한 무엇보다 마음을 지켜야 한다. 그러나 우리 마음을 해치는 네 가지 감정, 부채 의식이 있다. (1) I owe you. 죄의식이다. 내가 문제다. 괴롭다.(2) You owe me. 피해의식이다. 남이 문제다. 화가 난다.(3) I owe me. 욕구불만이다. 내 내면이 문제다. 더 가지고 싶고 더 누리고 싶다.(4) God owes me. 비교하게 되고 세상이 불공평하게 느껴진다. 하나님이 문제다. 질투가 난다. 1. 죄책감: "당신에게 진 빚이 있어." (I owe you.) 우리는 불완전한 인간이라, 가까운 사람부터 먼 사람까지 갑질을 해서 공연히 괴롭힌다. 그 결과 나는 죄책감에 시달린다. 이 때 할 일은 네 가지이다. 3R 1C (1) 회..
1984 공동번역성서 평양교정본을 만든 사람은 (1984) 교정 실무자는 1866년 토마스를 처형한 군인의 조카로 숭실대학 영문과를 졸업하고, 1930년대 말 평양 장로회신학교 구약학 교수 레널즈(W. Reynolds) 선교사의 번역 비서로 지낸 이영태(李榮泰)였다. 1. 성서공회 총무 민영진, "「북한성경」 제작 실무자 이영태(李榮泰)," 48-3 (2002 가을)에서내가 북한 성경을 볼 수 있었던 것은 1985년이었다. 미국에서 귀국한 친구로부터 그 성경을 받아볼 수 있었다. 그 무렵에 이미 우리나라의 일부 언론들은 북한 성경을 소개하고 다루면서 그 가치를 깎아 내리고 있었다. 남한의 여러 번역을 참고하여 엉터리로 만들어낸 성경, 자기들에게도 성경이 있고, 기독교가 있다는 것을 세계에 선전하려고 급조하여 만든 성경이라고, 가치를 폄하하면서 보도했..