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연대/1880s

(10)
1884 고종의 선교 윤허가 감리교회 한국 선교 기점인가? 국민일보 2024.10.8일자에 다음 기사가 있어 감리교회가 1884년 고종의 선교 윤허를 감리교회 140주년 기점으로 삼고 있음을 알 수 있다.   1884년 7월 초 고종이 선교 학교와 병원을 하도록 구두로 윤허한 것을 한국 감리교회 선교의 시작 시점으로 보는 것은 어불성설이다. 매클레이는 주재 선교사가 아니라 방문 선교사였으며, 최초 방문 선교사도 아니었다. [1883년 11월~12월 제물포와 서울을 6주간 방문하고 성경을 반포한 다우스웨이트(Arthur William Douthwaite)의 노력이 있었다. 그는 한국에 선교사를 파송할 것을 주장한 보고서를 발행했다.] 1934년 양주삼과 감리교회가 매클레이를 첫 선교사로 본 것은 장로교회에 대한 열등감[최초 선교의 자리를 빼앗긴 것과 거의 동시기에..
<알렌의 일기>, 오역 주의 뉴욕 공립도서관에 소장되어 있던 알렌 문서가 한국에서 디지털화되어 무료 공개되었다. 25년 전 그곳에 가서 직접 마이크로필름으로 복사하던 일을 생각하면, 지금 연구자는 집에 앉아 원문은 물론 대부분 번역된 문서를 볼 수 있으니 얼마나 행복한가! 이 문서 가운데 알렌의 일기 1-4부는 김원모 박사의 노력으로, (단국대학교출판부, 1991)로 출판되어 있다. 30년 전 이 책이 나옴으로써 개화기 연구에 큰 기여를 했다. 영어 원문을 독해해서 수록하고 역주도 풍부하다. 다만 개신교 관련 용어나 번역에 오류가 많아서, 연구자는 조심해야 한다. 아래 1885년 4월 6일과 10일자 두 페이지만 그 예로 소개한다. 언더우드와 아펜젤러 부부가 4월 5일 제물포에 도착했을 때, 알렌 의사는 제물포 항에 나가서 그들을 ..
1882-85 로스역 번역팀 다음 한국기독교역사연구회 편, (1989년 초판), 149쪽을 보면 [이후 개정판이 나와 페이지가 바뀌었다] 1882-85년 로스역본 한글 신약전서 번역에 참여한 다양한 한국인들을 만나게 된다. 자료에 이름이 없기 때문에 학자로만 표현되어 있다. 잘 알려진 번역인 이응찬을 제외하면, 전도인으로 활동한 백홍준, 서상륜, 김진기, 이성하, 김청송(식자공), 류춘천 외에 우리가 아는 이름은 없다. 그러나 이 책에서 보듯이 번역에는 여러 다른 한국인이 참여했다. 특히 평안도 사투리를 해결하기 위해, 1882년 7월에 세례를 받은 서울의 전직 관리, 복음서~고린도서를 개정 번역한 서울 학자, 임오군란으로 좌천된 서울의 보수파 군인들과 서울 출신의 양반, 서간도 한인촌 학자들이 참여했다. 사실 이 책의 "2. 만주..
맬더스 비판하고 빈민 구제와 인구 성장책 주장, 1886년 <한성주보> 자료 소개: “英國 人口 救窮說 續稿,” , 1886년 6월 31일. 抹制氏(맬더스 Malthus)의 說은 前號에 그 대략을 이미 실었다. 맬더스 氏 때에 영국의 인구는 갑자기 증가하였으나 物産이 왕성하지 못하였으므로 가난한 백성들의 생활이 곤란하였다. 그러므로 그의 諭旨에 편벽된 것이 없을 수 없었다. 그의 說에 인구와 물산의 증식은 서로 함수관계가 있는 것인데, 물산의 증식은 더디고 적은데 반해 인구의 증가는 빠르고 많다. 그러므로 구제하지 않는 것으로 빈궁을 구제하는 묘책으로 삼는 것이다. 만일 국민이 굶주린다고 곡식을 풀어 구제하면 국민은 그것을 믿고 날로 게을러질 것이고, 국민이 굶주려도 구제하지 아니하면 장정들은 노력하여 먹고 노약자는 굶어 죽을 것이니 국가에서는 곡식을 허비하지 않고 人口가 ..
1882 누가복음 2장 한국인이 처음 읽은 성탄 이야기 1882년 봄에 발행된 로스역, 첫 한글 성경 쪽복음 (심양: 문광서원, 1882) 2장이다. 140년 전 한글은 읽기가 쉽지 않다. 첫줄만 현대어로 읽으면 "당시에 개산(該撒 가이사) 아우구스투스가 조세를 내어 천하로 하여금 호적을 올리는데..."
1883년 4월 29일 이수정 세례 사진 이수정 세례 기념 사진, 1883년 [한국기독교사 연구에서 미국의 기독교 주간지도 조사해야 한다] 사진은 이미 공개된 것이지만 1902년 1월 Christian Herald에 나오는 1883년 4월 29일 이수정 세례 기념 사진. 야스카와 목사가 문답을 했고 녹스 목사가 집례했다. 최근에 원본을 구입했다. 사진에서 미국인 선교사 2명, 중국인 어학교사, 한국인 번역자(이수정), 일본인 부부가 있는 것이 상징적이다. 네 나라 기독교인들의 공동 프로젝트로 초기 한국 기독교가 형성되었음을 보여준다. 원본을 구입한 기념으로 찍었다. ⓒ옥성득 2016. 1. 8
소래교회는 언제 설립되었나? 소래교회는 언제 설립되었나? 1884, 1885, 1886, 1887년 중 언제? 1925년 12월호 Korea Mission Field에 실린 번하이젤 목사가 쓴 소래교회 40주년 기념식 글이다. 발표된 시점과 행사를 보면 1885년에 소래교회가 설립되었다고 볼 수 있다. 그러나 첫 페이지 세 번째 문단을 보면 한국에서는 나이를 셀 때 아이가 태어나면 한 살이듯이, 교회도 설립될 때 한 살로 치기 때문에 실제로는 1886년에 소래교회가 설립되었다고 밝히고 있다. 1886년이라면 로스 목사가 지푸에서 보낸 한문 신약전서와 전도문서, 한글 복음서들을 서상륜 서경조 형제가 묄렌도르프 부부의 도움을 통해 받아서 공부하며 예배를 드리던 때였다. 곧 1886년 서경조가 로마서를 읽고 '심중전'을 하며 바울을 따라..
1884년 1월 26일 이수정의 편지 발간되다 이수정의 마게도니아인의 부름 편지 뉴욕 기독교 주간지에 발표되다 일본에서 개종하고 1883년 말 미국교회에 보낸 이수정의 편지는 한국인이 직접 미국 선교사를 한국에 요청한 편지로서, 이 편지가 계기가 되어 미국북장로회 해외선교부는 1884년 헤론 의사와 언더우드 목사를 한국의 첫 선교사들로 임명하게 된다. 이수정은 당시 일본 교회가 한국에 선교사를 보내려는 운동을 하자, 조선 양반 기독교인의 체통과 자존심에서 일본을 거친(second-hand) 기독교에 만족할 수 없었고, 미국에서 직수입되는 기독교를 받고자 했다. 그 편지 내용은 모든 교회사 첫 장에 등장하므로 요약하지는 않고 대신 영어 전문을 첨부한다. 그런데 사소한 것이지만 그 편지가 미국에서 언제 처음 출판되었는지 발표 시점을 아직도 정확히 모르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