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주제

(245)
성도덕의 변화와 번역의 변화 성도덕의 변화와 번역의 변화ⓒ옥성득 1955년 신약원전위원회가 마태 1: 18절과 23절 번역을 놓고 토론할 때 구역(1911)은 ‘성례하기 전에’ +‘동정녀가 잉태하여’로 번역했고, 개역(1952)은 ‘동거하기 전에’ + ‘처녀가 잉태하여’로 번역했으나, 위원회는 ‘동거하기 전에’ + ‘동정녀가 잉태하여’ 로 다소 보수적으로 결정했다. 그 이유는 1920년대 이후 성도덕이 변하여, 처녀라고 해서 남녀 관계를 안 했다고 볼 수 없고, 따라서 결혼(성례)하기 전에는 남녀가 만나지도 않았던 과거와 달리, 혼전 임신도 많으므로 "동거하기 전에"로 번역해야 그리스도의 신성을 해치지 않는다고 보았다. 따라서 1967년 새번역은 ‘약혼하고 아직 결혼하기 전에’ + ‘동정녀가 잉태하여’로 번역했으며, 1977년 공동..
[성경읽기] 2 소리내어 誦해야 하는 이유 나의 할머니는 글을 읽지 못했다. 그래도 그 신앙으로 우리 집안에 신앙이 들어오고, 유언 때 할머니가 외우신 사도신경이 우리 집안의 신앙고백이 되었다.해방 당시 한국인의 약 80%가 문맹이었다. 그들에게 성경은 무엇이었을까? 그들은 성경을 듣고 외우고 암송하고 실천했다. 문맹이라 4복음서을 다 외우거나, 신약을 통채 외우는 신자들도 있었다.1919년 삼일운동 후 감옥에 들어간 교인들은 성경을 암송했다. 요한복음 14장 18-20절 "내가 너희를 고아와 같이 버려두지 아니하고 너희에게로 오리라. 조금 있으면 세상은 다시 나를 보지 못할 터이로되 너희는 나를 보리니 이는 내가 살았고 너희도 살겠음이라. 그 날에는 내가 아버지 안에, 너희가 내 안에, 내가 너희 안에 있는 것을 너희가 알리라."길선주 목사는 ..
김구의 아내 최준례 김구의 아내 최준례 (1889-1924) 김구 선생이 어머니 곽낙원 여사와 오른쪽이 맏아들 김인, 둘째 아들 김신(왼쪽)과 함께 아내 최준례 여사 무덤을 찾았다. 한글학자 김두봉이 한글로 묘비명을 썼다.(백범기념관 제공). [출처 1] ㄹㄴㄴㄴ해 ㄷ달 ㅊㅈ날 남 대한민국 ㅂ해 ㄱ달 ㄱ날 죽음 최준례 묻엄 남편 김구 세움 내용을 풀이하려면 자음 순서를 아라비아 숫자로 환원해서 이해하면 된다. 즉, 'ㄹ'은 아라비아 숫자로 하면 ㄱ-ㄴ-ㄷ에 이어 네 번째이니 '4'를 말한다. 최 여사의 출생일은 단기 4222년(서기 1889년) 3월 19일이며, 사망일은 '대한민국 6년', 즉 1924년 1월 1일이다. 김구는 대한민국이 1919년 건국되었으므로 그런 연호를 사용했다. 다음은 블로그 “보림재”에서 퍼온 글이..
2018 장로교회의 실상 장로교인은 대부분 한국과 미국에 있다. 한국에 550만, 북미에 약 200만, 유럽과 오세아니아 100만, 아시아 아프리카에 300만 정도, 합계 1,200만 정도가 아닐까 한다. 5년 전에 1,500만이란 통계가 있었는데 매년 3% 정도 감소하므로 1,200만으로 잡았다. 전 세계 기독교인의 0.5% 정도가 장로교인이라고 보면 된다. 미미한 존재요 극소수다. 미국장로교회(PCUSA)는 1986년 약 3백만 신도였으나, 30년 후인 2016년 약 1백 50만 명, 절반으로 줄었다. 한국 장로교회들은 1986년 약 400만 명이라고 자랑하며 30년 후에는 1000만명이 될 것처럼 허세를 부렸으나, 2016년에는 2015년에 비해 5% 정도 감소를 보이면서 매년 감소하고 있다. 지금은 많이 잡아도 600만 ..
1961 루터의 저녁 기도 하나님 아버지, 큰 은총으로 오늘 하루를 지켜 주심을 독생자 예수 그리스도를 의지하여 감사드립니다. 비오니 저희들의 모든 죄와 악행을 용서하여 주소서. 주의 크신 인자로 오늘 밤 모든 위험으로부터 지켜주소서. 저희들의 몸과 영혼과 모든 것을 주의 손에 맡기나이다. 주의 거룩한 천사가 저희를 지키고 악한 세력이 다스리지 않게 하옵소서. 아멘"개혁자의 기도," , 1961년 5월호