지역 (33) 썸네일형 리스트형 왜 세대 갈등이 일어나는가: 1917 이광수 <무정>에 나오는 김장로 구세대와 신세대의 갈등: 왜 구세대는 무식하고 신세대와 충돌하는가? 1917년 봄 에 연재되고 있던 이광수의 『無情』을 보면 평양 감사를 지낸 아버지를 두어 미국 공사와 국장까지 지낸 서울 교동의 양반 부자 김광현 장로가 나온다. 1917년이면 일본 유학을 다녀온 한국인이 2,000명을 넘을 때였다. 일본 서적이 들어오고 각종 신사상이 유입되고 있었다. 1차세계대전이 마무리되면서 세대주의 종말론도 유행하고, 진화론과 사회진화론은 물론, 곧 일어난 러시아혁명으로 인해 공산주의와 사회주의 사상도 유입된다. 한국에서 이광수로 대표되는 신지식인이 등장하던 시기였다. 1880-90년대 개화기 초기에 김옥균으로 대변되는 신세대와 구세대의 (한문 세대 간의) 제1차 세대 갈등이 있었다면, 1910년대 후반은 이광.. 이전 1 2 3 4 5 다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