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분류 전체보기

(780)
2019 올해의 한국교회사 책 2019년 (2018. 12. 10 - 2019. 12. 10) 출판된 한국교회사 단행본 강성호, ⸢저항하는 그리스도인: 세상을 밝힌 한국 기독교 저항사⸥, 복있는사람, 2월 한국기독교역사연구소, ⸢3.1운동과 기독교 민족대표 16인⸥, 한국기독교역사연구소, 3월 이영식, ⸢한국장로교회와 민족운동⸥, 한국기독교사연구소, 3월 오지원, ⸢초기 한국침례교 역사⸥, 요단출판사, 4월 유성실, ⸢H.B. 헐버트 선교사의 통전적 선교가 한국 근대교육과 사회문화 발전에 끼친 영향⸥, 현대사포럼, 4월 김양호, ⸢전남 기독교 이야기 1⸥. 세움북스, 5월 정상운 외, ⸢한국성결교회 백년사⸥, 킹덤북스, 5월 한국염, ⸢평등 평화 생명의 길: 한국기독교장로회전국여교역자회 50년사⸥, 동연, 5월 류대영, ⸢한국 기독교..
한어 경교 전적 해석, 2019 웡샤오쥔 교감 주석, , 임영택 역, 민속원, 2019. 사진에서 보듯이 51쪽에 걸쳐 경교 문헌을 이해할 수 있는 서론에 해당하는 해제--중국어 경교문헌의 사상 내용과 기술 유형을 소개한 후, 1개 비문과 7개의 경전 본문을 제시하고 어려운 낱말에 대한 주석에 해당하는 해설을 붙여 놓았다. 제1장『대진경교유행중국비송』 제2장『서청미시소(하)경』 제3장『일신론』 제4장『선원지본경』 제5장『대성통진귀법찬』 제6장『지현안락경』 제7장『삼위몽도찬』 제8장『존경』 1장 경교비문은 유명하지만 본문 전체를 이해하는 것은 쉬운 일이 아니다. 제7장『삼위몽도찬』과 제8장『존경』늠 1908년 툰황 석굴에서 발견되어 현재 파리 국립도서관에 소장되어 있다. 제2장『서청미시소(하)경』과 제3장『일신론』은 일본 학자들이 중국에..
1934 조선예수교장로회 노회별 교세 1934년 개신교 첫 희년 때 장로교회가 전체 기독교인(천주교 포함)의 약 55%를 차지하고, 감리교회는 10% 수준이다. 장로교회에는 26개 노회가 있었고, 평양노회와 황해노회가 합 6만 명이 넘어 두 노회만 해도 전체 28만 장로교회 교인의 22%가 넘었다. 붉은 색으로 교세의 크기를 표시해 보았다. 서북 지역 노회가 2/3 교세가 된다. 해방 이후 서북과 경상도가 손을 잡으면 3/4 세력이 된다. 지금까지 보수주의가 강세인 이유이다. 중간에 있는 지도는 산동 선교지 동3성을 표시하고 있다. 다른 곳과 달리 타문화타언어권 해외 선교지라 따로 표시했다.
옥성득, <대한성서공회사 III, 1945-2002> [새 책] 옥성득, (2020년 1월, 560쪽) 1권과 2권 공저에 이어 해방 이후 한글 성경 번역사, 출판사, 반포사인 대한성서공회사 3권은 단독 저서로 드디어 나오게 된다. 내 한국교회사 공부는 이 책 세 권과 함께 성장했다고 해도 과언이 아니다. 성서공회는 내 공부와 유학의 든든한 후원자였다. 공회 100주년 기념으로 내가 그 역사서 두 권, 이어서 자료집 세 권을 썼기 때문이다. 그래서 사진처럼 3권 역사의 일부가 되었다. 해방 이후 복잡다난한 한국교회사의 일면이 성서공회 번역 논쟁사와 더불어 진행된다. 본문만 534쪽, 그 앞뒤로 붙는 문서를 합하면 600쪽은 되겠다. 이로써 나의 한글 성서 연구는 1차 마감이다.
서평 The Making of Korean Christianity [알림] 이 책의 한글 증보수정판은 2020년 1월 출판 예정입니다. Book Review. Social Sciences and Missions © koninklijke brill nv, leiden, 2019 | doi:10.1163/18748945-03201011. Sung-Deuk Oak, The Making of Korean Christianity : Protestant Encounters with Korean Religions, 1876-1915, Waco, Texas, Baylor University Press, 2013, 49 $, 437 p., ISBN 978-1-60258-575-1. Social Sciences and Missions 32 (May 2019) 189–227 by Juli..
신사참배로 가는 길 옥성득, "신사참배로 가는 길," (2019년 11월호) 1938년 장로교회의 신사참배는 하루아침에 이루어진 것이 아니다. 1938년 9월 10일 평양에서 열린 장로회 총회에서 참배를 결의하고 부총회장과 노회장 전원이 평양 신사에 가서 절한 것은 대세를 따라간 교회와 일제의 압력에 지치고 굴복한 노회들이 있었기 때문이다. | 1938년 9월 10일 오전 9시 반 평양 서문밖교회에서 조선예수교장로회 제27회 총회 제2일째 회의가 열렸다. 27개 노회 대표 171명(목사 86명, 장로 85명)과 선교사 22명, 총 193명의 총대가 참석했다. 일제 수뇌부는 미리 친일파 이승길, 평북노회장 김일선 등과 신사참배를 결의하기로 합의했으므로, 이시다 센타로(石田千太郎) 평남도지사, 경찰부장, 고등과장, 경무과장, ..
동아시아 신학 입문서 20권 동아시아 신학 입문서 1. 중국 신학 웡샤오쥔(翁紹軍), 《중국어 경교 전적 해석》 (2019) 마테오 리치, 《천주실의》 윌리엄 마틴, 《天道遡原》 (미번역) 오순방, 《19세기 동아시아의 번역과 기독교 문서선교》 (2015) 오동일, 《중국 한어신학 연구》 (2018) 2. 일본 신학 고스케 고야마, 《물소 신학 Water Buffalo Theology》 기타모리 가조(北森嘉藏), 《하나님의 아픔의 신학》 우찌무라 간조, 《회심기》. 《구안록》 가가와 도요히코(賀川豊彦), 《가가와 도요히코 평전》 (실젠, 2018) 3. 한국 신학 선교신학: 옥성득, 《한국기독교 형성사, 개신교와 한국 종교의 만남, 1876-1910》 (2019년 12월 출간 예정) 보수주의: 길진경, 《영계 길선주》 박형룡, 《기..
1891 북한과 만주 횡단 전도여행 한국교회사에서 최장거리 도보 전도여행, 마페트, 게일, 서상륜, 백홍준, 1891년 2월-5월 지도 수정: 옥성득, (짓다, 2016), 269쪽에는 이들의 여행 지도를 다음과 같다고 썼다. 서울에서 출발한 서상륜, 마페트, 게일은 의주에서 3월 29일 부활주일을 기념하고 10명에게 세례를 주고 성찬식을 거행했다. 서상륜은 서울로 돌아가고, 대신 의주의 백홍준이 봉천까지 두 선교사들 동행했다. 그러나 영구로 가지 않고 로스 목사가 있는 봉천(심양)으로 바로 갔다. 따라서 지도는 다음과 같이 수정한다. 세 사람이 봉천에 가서 본 교회가 바로 다음 봉천기독교예배당이었다. 기독교는 천천히 걸어가는 종교, 길 위의 종교이다. 예수님은 3년간 걸어 다니며 제자들을 훈련했고, 바울은 몇 차례 선박 여행을 제외하면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