장로교회 분쟁: 김선두, 길선주, 변인서 목사 배척 사건, 1923-1934
평양기독교역사 9, , 2019년 10월호. 1920년대는 분규, 파업, 동맹휴학의 시대였고, 장로교회도 안팎으로 투쟁과 분열의 시대였다. 밖으로 사회주의와 진화론으로 무장한 반기독교 운동과 대결하던 교회는 교회 분쟁, 미션스쿨 동맹휴학, 병원 간호사 파업이 지속되면서 내부 분열로 힘을 잃고 사회적 영향력을 점차 상실했다. 기독교 수용 40년 만에 쇠퇴기가 시작되었다. 이 글은 학교나 병원 분쟁은 제외하고 교회 분쟁만 다룬다. 1910년대 초에 시작된 교회 분열이 선교사의 권위주의에 반발한 한국인 목사들의 자유교회 운동이라면, 1920년대 중반 이후 10년간의 교회 분열은 노쇠한 당회(선교사, 한국인 목사와 장로)의 독재와 권위주의에 반발한 신세대 평신도들의 개혁 운동이었다. 교회 분규는 장로회 정치를 ..
장대현교회 길선주 목사 배척과 교회 분립 사건, 1925-27
옥성득, "장로교회 분쟁: 김선두, 길선주, 변인서 목사 배척 사건, 1923-1934," , 2019년 10월호 中 장대현교회 길선주 목사 배척과 교회 분립 사건, 1925-27 부분 1924-25년에 사회주의자들의 반기독교 운동이 지속되면서, 평양 예수교를 비판하는 「개벽」(開闢) 지의 ‘예루살렘의 조선’ 담론이 등장했다. 군산, 재령, 해주, 개성 등 주요 도시에서 반기독교 운동과 김익두 부흥회 반대 운동이 전개되었다. 북간도 용정촌에서는 김익두에게 권총으로 위협하는 사태까지 벌어졌다. 평양 교인들은 반기독교 기사를 쏟아내는 「개벽」에 대해 불매 운동을 전개했다. 「기독신보」는 교회개혁 논설을 지속적으로 올렸다. 장대현교회는 1922년 6월에 2년간 옥고를 치른 길선주(吉善宙, 1869-1935)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