한국 교회의 첫 구약전서, 1911
[1] 1882년 첫 한글 복음서인 로스의 가 나온 지 30년 만인 1911년 3월 한글로 된 첫 가 발행되었다. 1906년에 발간된 공인역본 와 더불어 공인역본 가 1911년에 발간되면서, 한국교회는 온전한 성경 전서를 한글로 읽게 되었다. 이를 1938년의 개역본과 구별하기 위해서 구역본이라고 부른다. 1911년 3월 일본에서 10,000부, 서울에서 10,000 부 초판 구약전서가 발행되었다. 당시 개신교인이 10만 명 정도였으므로 다섯 명 중 한 명이 가질 수 있었다. 한 가정에 한 권으로 보고 발행한 듯하다. 그러나 활자가 커서 만 해도 2,650쪽이나 되는 방대한 분량이라, 상하 두 권으로 분책을 했다. 상권은 창세기부터 역대하까지 1,350면, 하권은 에스라부터 말라기까지 1,300면이었다...
1950. 6. 25 주일 영락교회 주보
영락교회 1950년 6월 25일 주일 주보이다. "벧아니"(베다니) 78호라 하여 1948년부터 주보를 발행한 듯하다. 1950년은 전도의 해였다. 주일 성수, 십일조, 개인 전도를 강조하는 전형적인 복음적인 교회의 구호들을 볼 수 있다. 이를 위해 가정예뱌, 구역예배, 전도회들의 전도 운동을 했다. 주보 앞 면에 목사 (한경직, 강신명) 외에 전도사, 권사, 시무, 성가대 지휘, 반주 이름은 있으나 장로 이름은 없다. 오전 11시 예배는 예정대로 드렸으나, 바로 전쟁의 소식으로 서울은 허둥지둥 아수라장이 되었다. 주일 저녁 예배는 소수가 모여서 드렸을 것이다. 우리는 한치 앞도 보지 못한다. 아무도 미래를 예측할 수 없다. 그러나 무화과 잎이 무성하면 여름이 온 것은 안다. 시대를 분별하는 지혜를 가지..
한국 전쟁과 기독교 어떤 책이 있나?
최근 발행순으로 내가 가지고 있는 책 중에서 선별했다. 2015, 윤정란, , 한울엠플러스. 2000년에 숭실대 박사, 여성사, 독립운동사, 개신교사 전공 학자. 탈식민주의 입장. 한국교회의 주류화 과정 추적. 2015, 김창식, , 쿰란. 반공 포로(인민군) 출신 목사, 숭실대 졸, 서울신대 졸, 미국에서 목회, 교수, 체험과 비화를 중심으로 서술. 보수적인 한국 교회의 일반적인 시각. 2009, 대한민국 국방부 군사편찬연구소, 러시아연방 국방부 군사사연구소, . 러시아 측 1차 사료가 번역 정리되어 있다. 1945년 이후 북한에 진주한 러시아군의 작전 명령들이 북한교회 이해에 도움이 된다. 1999, 김흥수, , 한국기독교역사연구소. 한국교회사 전공 저자의 서울대 종교학과 박사논문을 책으로 출판했다...
1907년 ‘평양 대부흥 운동’ 다시 읽기
옥성득, "1907년 ‘평양 대부흥 운동’ 다시 읽기," , 2019년 5월호 ‘평양 대부흥’은 1907년 1-6월 평양 시내 장로회와 감리회의 교인들과 학생들에게 일어난 회개와 각성 운동이었다. 성령 강림으로 심각한 죄를 회개하고 공개 자백, 중생 체험, 용서, 배상, 헌신을 통해 교회가 변하고 많은 불신자들이 개종하였기에 ‘대’부흥이었고, 평양을 넘어 전국으로 확산된 점에서 ‘운동’이었다. 한국교회는 이를 처음부터 부흥이나 대부흥(great revival)으로 불렀고, 종교 각성(awakening)이나 오순절(Pentecost)로도 불렀다. 그러나 이 부흥 운동은 20세기 초의 오순절 운동과는 상관이 없었다. 이 글에서는 ‘평양 부흥’으로 부르겠다. 이 글은 여러 책에 나오는 평양 부흥의 배경, 전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