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분류 전체보기

(780)
이상재, 연설 "조선 청년에게" (1927) 李商在, “演說: 朝鮮靑年에게” (上) 원반: 제비 表朝鮮 레코드(Nitto) B143-A, 1927년 녹음 *국립국악원 제작, 한국고음반연구회 기획 이 음반은 1927년 일본 일동(닛토) 축음기회사의 한국 레이블이었던 제비표 조선레코드에서 당시 YMCA 총재였던 월남 이상재 선생(1850-1927)의 육성 음반을 취입한 것이다. https://www.youtube.com/watch?v=aRXX7frivlQ&list=PLurmbV5BLY2Kiud5XqTKTlbjfjPi7YnAe&index=7 --------- 내가 조선 청년에 대하여서 세 가지로 관념을 보는데, 첫째는 조선 청년에게 아주 극단으로 희망을 허는 게 있고, 둘째로는 조선 청년에게 시방 현상을 보고서 극단으로 비관하는 일이 있고, 필경 셋째로..
YouTube 채널 <옥성득 TV--Korean Christianity> 개설 YouTube 채널 개설 ​https://www.youtube.com/channel/UCGhFglHjAucRxZ5y1W2aECA/featured 옥성득 TV - Korean Christianity 한국 기독교 역사에 대한 옥성득 UCLA 임동순 임미자 한국기독교 석좌교수의 강의와 자료 소개를 모았습니다. Dr. Sung Deuk Oak, Dongsoon Im and Mija Im Endowed Chair Assoicate Professor of Korean Christian... www.youtube.com 옥성득TVᅳOak's Korean Christianity 한국 기독교 역사에 대한 옥성득 UCLA 임동순 임미자 한국기독교 석좌교수의 강의와 자료 소개를 모았습니다. 그 동안 했던 강의나 설교들이 여..
1939년 5월 24일 엥겔(Gelson O. Engel) 목사 별세 1939년 5월 24일 엥겔(Gelson Engel, 王吉志, 1868-1939) 목사(부산, 호장) 별세 왕길지는 1900년 10월 29일 부산에 도착한 이후 1938년 은퇴할 때하기까지 38년간 부산(1900-1919)과 평양(1919-1937)에서 활동했다. 그는 고전어(헬라어, 히브리어, 라틴어), 현대어(영어, 불어, 이태리어), 인도 방언(마라티어 Marathi, 힌디어 Hindi, 우르드어 Urdu)과 동아시아어(한국어, 한문, 일본어)에 능했다. 이런 언어적 능력으로 그는 구약학자요 신학교 교수로서 후학을 양성하고 성경 번역에 공헌했다. 그는 선교사로서 교회 개척과 순회 전도, 경남 지역 교회 감독과 당회를 운영했다. 그밖에 일신여학교 교장, 경상 노회와 경남 노회에서의 활동, 총회 활동을..
이종덕 목사(1884-1950) 침례교회 총회장 이종덕 목사, 1950년 순교 1950년 6.25가 터지자 교단 목사들은 이목사에게 피난을 권면했다. 그러나 이목사는 다음과 같이 말하고 순교자의 길을 같다. "교단장이 지켜야 할 교단을 지키지 않고 어디로 갑니까? 인명은 재천이라고 했습니다. 죽이시고 살리시는 권세는 오직 주의 장중에 있습니다." 이종덕은 1884년 6월 15일 충남 공주군 이인면 신영리에서 한학자 이세영의 아들로 태어났다. 7세부터 한문공부를 시작하여 13년을 정진하고, 1907년 그의 나이 23세때에 부여군 칠산교회 장석천씨에게 전도를 받아 기독교인이 되었다. 1910년 나라가 강제병합을 당하자 울적한 마음을 달랠길 없어 방황하던 그해 4월에 고명한 선교사를 소개받고 원산에 가서 선교사 말콤 펜윅을 만나서 친히 한국..
War and Worship, 1951 전쟁 중에도 폐허 속에서도 예배를 드릴 수 있는 곳에서는 예배가 중단되지 않았다. 예배당이 서 있던 자리에 가마니를 깔고 혹은 흙 바닥에 더 많은 사람이 모여 기도했다. Resilence. 복원력. 오래 참고 견디는 한국 교회의 회복력은 일제 시대와 한국 전쟁을 겪으며 그 피 속에 내면화 되었다. 다가오는 고난과 절망의 시기를 지나면서도 사라지지 않을 것이다. 오늘 화려한 성전에서 드리는 예배 때문이 아니라 저 흙 바닥에서 드린 예배 때문에 아직도 교회가 살아 있다. 로마서 8:37 (비록 남북은 분단되었으나) 누가 우리를 그리스도의 사랑으로부터 분단할 수 있겠습니까?
유자 탱자 망자 [미국 신학교는 더 이상 한국 교회에 발언권이 없다] 오늘 한 대화에서 미국 신학교들이 한국 교회나 일부 그룹이 요청하는 지지 서한을 보내고 있다는 것을 알게 되었다. 특별히 그 학교 졸업자가 한국 중대형교회 목사가 되었다면 그를 지지하는 경우가 있다. 그런데 쇠락해 가는 오래 된 미국 신학교들이, 교단도 다른 경우까지, 왜 교수회의 명의로그런 서한을 보내겠는가? 그들은 한국 상황을 잘 알지 못한다. 예컨대 미국에서는 부자(父子) 교회 세습이 대개 문제가 되지 않기 때문에, 그 시각에서 한국에서 이 문제로 비난 받는 교회에 지지 서한을 보낸다. 그런 일을 행한 미국 교수들은 한국 교회들이 그 문제로 얼마나 고통 받고 있는지, 그 문제가 왜 중요한지 전혀 느끼지 못한다. 다만 자신들의 생존을 연장하거나 의..
<한반도 대부흥> 티저, 2009 https://www.youtube.com/watch?v=ty2VBHMwz8k&t=50s&fbclid=IwAR2zfcFHJnPzUGAkt1iEPe-5DPzZDsRDSpuuiWpmXtdH_4O6mE1gYi7alqo 예고 광고, 동영상
한국 간호 100년 동영상, 2013 https://www.youtube.com/watch?v=KO4nI7SkhQw&t=29s 옥성득, (2011)과 (2012)을 중심으로 만든 한국 간호 100년사 영상이다. 2013년 국제간호대회 때 상영되었다. 2017년에는 자료집 2권이 나왔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