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연대

(202)
1884 고종의 선교 윤허가 감리교회 한국 선교 기점인가? 국민일보 2024.10.8일자에 다음 기사가 있어 감리교회가 1884년 고종의 선교 윤허를 감리교회 140주년 기점으로 삼고 있음을 알 수 있다.   1884년 7월 초 고종이 선교 학교와 병원을 하도록 구두로 윤허한 것을 한국 감리교회 선교의 시작 시점으로 보는 것은 어불성설이다. 매클레이는 주재 선교사가 아니라 방문 선교사였으며, 최초 방문 선교사도 아니었다. [1883년 11월~12월 제물포와 서울을 6주간 방문하고 성경을 반포한 다우스웨이트(Arthur William Douthwaite)의 노력이 있었다. 그는 한국에 선교사를 파송할 것을 주장한 보고서를 발행했다.] 1934년 양주삼과 감리교회가 매클레이를 첫 선교사로 본 것은 장로교회에 대한 열등감[최초 선교의 자리를 빼앗긴 것과 거의 동시기에..
바로 잡은 민영환 사진 민영환 충정공이 서서 정면을 바라보는 사진으로 1904년 6월 출판된 잡지에 나오므로 1904년 초에 촬영한 듯하다.이와 유사한 다음 사진이 위키백과에 나온다. 아마 같은 날 같은 사진관에서 촬영했을 듯. 무인의 모습이 강하게 풍긴다.그런데 다음과 같이 알려진 사진이 있다. 위의 두 사진에 비추어 보면 좌우 방향이 바뀌었다. 위의 첫 사진에 비추어 이 사진은 다음과 같이 좌우를 바꾸어야 하고 촬영시기도 1904년으로 바로 잡아야 한다.1905년 대한제국이 외교자결권을 상실한 을사조약이 맺어지자 민영환(閔泳煥, 1861~1905년 11월 30일)은 자결했다. 언더우드 부인(Mrs. Lillias H. Underwood)은 사익을 바라지 않고 오직 나라와 공의를 위해 살다가 자결한 의인의 죽음을 애도했다. ..
7월 8일 귀츨라프 생일 Happy Birthday to you! Karl Friedrich August Gützlaff!He visited a small island on the west coast 192 years ago as the first Protestant missionary to Korea.He was a Lutheran. (루터란은 각성할 때^^)1803년 7월 8일 귀츨라프 출생--2025년은 탄생 222주년1832년 7월 22일 충남 보령시 오천면 고대도 안항 도착 (29세) --원산도라는 설도 있음--19일간 머물며             한문 주기도문을 한글로 번역 시도, 주민에게 감자를 주고 재배법 가르침1834  출판            비록 미미한 시작이나 하나님께서 복 주시면.....         ..
1906 「議會通用規則」, 윤치호 역 윤치호가 번역한 「議會通用規則」은 단행본으로 1898년에 발간되어 독립협회에서 사용했으나, 정치 변동으로 사용이 금지되다가, 1905년에 다시 유통되었다. 그 전문은 『대한자강회월보』 1906년 제4호(1906년 10월 25일): 67-79에 실렸다. 이를 연구한 유충희 논문의 초록을 먼저 보고, 전문을 보자.-------------------------------유충희, “개화기 조선의 民會 활동과 「議會通用規則」 ― 「의회통용규칙」의 유통과 번역 양상을 중심으로,” 『동방학지』 167호 (2014): 1-32.[초록]윤치호는 1897년 7월부터 독립협회에 참여하여 토론회와 연설회의 도입을 통해 협회를 정치단체로 변화시키는 역할을 한다. 그는 토론회를 조직하는 실무적 차원에서 협회 조직을 변화시켰을 뿐..
東朝鮮 : 一名元山案內, 1907 제8장 교육과 종교원산매일신문사 편찬, " 제8장 교육과 종교," Higashi Chōsen: Ichimei Ganzan Annai> ( Ganzan: Ganzan Mainichi Shinbunsha, 1907), pp. 200-210.  제8장 교육과 종교, 200-210쪽
민비 사진은 없다 2: 1894년 상궁 사진 다음은 1894년 11월 뉴욕에서 발간된 Demorest's Family Magazine에 실린 "The Queen of Korea" 기사이다. 저자는 한국을 방문했던 유명한 기독교인 작가, 여행가, 저널리스트, 사진작가, 지리학자였던 카펜터(Frank G. Carpenter, 1855-1924)였다. 따라서 사진과 캡션은 과장없이 사실 그대로이다. 그의 글은 한국의 왕비에 관한 것이지만, 민 왕후의 사진은 없고, 대원군과 궁중의 높은 상궁, 왕비의 관비, 고위 관료 양반 사진만 있다. 그 중의 한 장이 11월호 표지와 다섯 번째 페이지에 있는 "The Queen's Chief Lady in Waiting"(왕비를 모시는 상궁)이다. 이 사진은 한때 민비 사진으로 알려졌으나, 이 잡지와 언더우드 부인의 ..
1920 러시아 연해주 부인독립회 적십자단 간호부 1914년 블라디보스토크 신한촌의 기독교인 부인들이 창립한 대한부인회는 1919년 삼일운동을 계기로 그 이름을 부인독립회로 바꾸었다. 1919년 말 회장은 이동휘의 차녀 이의순이었고, 간도 지역 애국지사 채성하의 딸 채계복과 이혜슨, 우봉운 등이 중심 인물이었다. 채게복은 정신여학교에 유학했고, 서울에서 3월 5일 시위에 참여한 후 경찰의 조사를 받았고, 블라디보스토크로 왔다. 부인독립회는 1920년 봄 구호를 위한 간호부양성반을 조직하고 한인 여성 50명이 단기 속성반에 입학했다. 채계복은 대한적십자가 간호부로서 12명을 모집하여 입학시켰다. 다음 엽서를 보면 태극기와 적십자기를 배경으로 9명의 여성이 간호복을 입고 있는데, 제1기 졸업생으로 보인다. 당시 시베리아에서 봉사하던 미국 적십자사의 지원으로..
2020년 이후 별세하신 분 내 주변이나 어떤 의미로든 내게 영향을 준 분들, 소천 소식을 들을 때마다 죽음을 생각한다. 지난 4년간 돌아가신 분을 정리해 보았다. 대개 학자나 목회자들이다. 민경석 교수, 1940. 8. 11 ~ 2020. 8. 11 (80세) 김홍도 목사, 1837. 2. 6 ~ 2020. 9. 2 (83세) 김용섭 교수, 1931. 10. 8 ~ 2020. 10. 20 (89세) 박순경 교수, 1923 ~ 2020. 10. 24 (98세) 박창환 교수, 1924. 3. 17 ~ 2020. 11. 15 (96세) Rev. George E. Ogle, ~ 2020. 11. 15 (91세) 김용복 교수, 1938. 11. 1 ~ 2021. 4. 7 (83세) 조용기 목사, 1936. 2. 14 ~ 2021. 9. 1..