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분류 전체보기

(780)
1908 이승만의 연설에 나타난 한국 부흥 운동 평가와 기독교 국가론 1908년 3월 10일 이승만은 미국 피츠버그에서 모인 The first International Convetion of the Young People's Missionary Movement Interdenomination Conference 초교파청년선교운동대회 산하 제1회 국제대회에서 다음과 같은 연설을 했다.연설의 제목은 "Korea's Humiliation, Christianity's Call"이었다. 영문 자료는 2007년 내가 제공하고 편집했다. 당시에는 원문이 실린 자료를 찾지 못하고 서울에서 발행된 Korea Mission Field에 실린 영문을 실었다. 한글 번역은 장신대 서원모 교수가 책임졌고, 내가 수정했다. (장로회신학대학교 출판부, 2007)로 출판된 책이다. 번역문은 아래에 있..
1897 접목 이론 The Grafting Theory 1890년대 개신교의 주요 변증론의 하나가 접목론이었다.악한 나무라도 선한 가지를 접목하면 좋은 열매를 맺을 수 있다고 주장했다.개인도 그렇고, 한국 종교도 기독교와 접목할 수 있다고 주장했다. 아래는 1897년에 발행된 , 1987년 6월 16일자. 아직 대한제국이 건립되기 전이라 "죠션"을 사용했다. 참고) "죠션"의 발음은 뒷 음절에 액센트를 넣어 읽어야 했다.죠는 (조식, 조간에서처럼) 평평하게 낮고 조금 길게, 션은 (신선, 선명에서 처럼) 강하게 발음해야 한다.
1897 <독립신문>과 용어 하나님 1895-1900년 God에 해당하는 한국어 번역을 놓고 용어 논쟁이 진행 중일 때 은 하ᄂᆞ님을 지지했다. 독립신문의 지지는 한국인 일반이 하ᄂᆞ님을 선호하는 것으로 여겨졌고, 선교사들 대부분이 하ᄂᆞ님을 지지하도록 일정한 영향을 주었다. 당시 언더우드는 천주교와 성공회와 함께 "텬쥬"(천주)를 사용하자고 주장했다. 평양의 마페트는 물론, 서울의 서재필, 윤치호 등이 하ᄂᆞ님을 지지했다. 하나님과 하느님으로 분리되는 것은 해방 이후의 일이다. 해방 이전의 기본 표기는 하ᄂᆞ님이었다. 1897년 1월 26일자 2-10호 1면.
1951 문재린 목사 가족 (문익환) 거제 피란 사진 [이 한 장의 사진]1951 문재린 목사 가족 (문익환) 거제 피란 사진, 장승포 옥포교회 앞 신학교 동창인 거제 진종학 목사가 문 목사를 거제도로 오라고 해서 함께 지냈다. 북간도 영성이 거제도로 와서 거제도가 살았다. 문재인 대통령 가족도 이때 피난을 와서 그가 태어난다. 당시 거제엔 한국 지성과 영성의 최고봉들이 모여 있었다.옥포교회는 어장을 하여 거부가 된 진경삼 집사가 연보하여 1929년 6,500원으로 2층 석조 예배당을 지었다. 거제에서 제일 가는 교회였다. 내 장인 어른이 이 교회 출신이시다. 이 사진에는 오늘 가신 문동환 목사가 미국 유학 중이라 없다. 不在라야 존재의 귀함이 더 다가온다. 없이 계신 하나님처럼.
1905년 8월 이승만 일진회 대변인 문제 재론 1905년 8월 이승만 일진회 대변인 문제 재론 (1) 1905년 8월 4일 이승만 윤병구를 일진회 대변인으로 보도한 Washinton Times 단신이 있다. Washington Post도 아니고, 10매의 긴 글도 아니다. 다른 설명이 없다. (사진 1) 일진회 대표라고만 했지 친일 외교라고 하지 않았다. 일진회= 친일파라는 프레임으로 글을 보아서 한겨레신문 기사가 2011년에 나왔다. 상식적으로 보아도 친일파 이승만이 한국의 독립을 위해서 이역만리까지 왔다는 게 말이 되지 않는다. (WT는 종종 오보를 했다.) (2) 4일자 5일자 뉴욕, 와싱턴, 시카고 등 주요 도시의 신문들은 한인 대표, 개인 자격을 말하고 어떤 정파를 대변하지 않는다고 보도했다. 그런데 8일자 오하이오의 한 카운티 신문이 WT..
고문은 태형과 다른 여러 가지 1. 다음은 1912년 3월 총독부가 제정한 조선 태형령이다.조선 시대 고문과 형벌의 일종이었던 태형을 부활시켰다. 이 법은 1919년까지 존속되었기 때문에 삼일운동 체포자와 수인에게 태형으로 고문하고 처벌했다. ​조선 태형령제령 제13호, 1912년 3월 18일 공포 1912년 4월 1일 시행제1조 3월 이하의 징역 또는 구류에 처해야 하는 자는 상황에 따라 태형에 처할 수 있다.제2조 100원 이하의 벌금 또는 과료에 처해야 하는 자가 다음 각 호의 하나에 해당하는 경우에는 상황에 따라 태형에 처할 수 있다.1. 조선 안에 일정한 주소가 없는 경우2. 자산이 없다고 인정된 경우제3조 100원 이하의 벌금 또는 과료를 언도받은 자가 그 언도 확정 후 5일 내에 이를 완납하지 않은 경우 검사 또는 즉결 ..
민 왕비(명성황후)의 사진은 없다. 이승만의 (1910)에 나오는 사진은 명성황후(민 왕비)가 아니다. 2015. 3. 20. ⓒ옥성득 오늘 (2015년 3월 19일) 다음 기사에서 황필홍 교수는 "1910년부터 1932년까지 발간된 총 5종의 책과 잡지 원본을 확보해 분석한 결과, 1910년 이승만 전 대통령이 출간한 역사서 ‘독립정신’에 처음 소개된 명성황후 사진(아래 사진 중 첫 번째)이 실제 모습이라는 결론에 도달했다.”고 주장했다. http://premium.chosun.com/site/data/html_dir/2015/03/11/2015031102677.html?csmain "이승만 집필 '독립정신'의 명성황후가 진짜" "이승만 집필 '독립정신'의 명성황후가 진짜" premium.chosun.com 그는 또 "만약 명성황후 사진..
이승만 연보, 1904-10 이승만 연보, 1904-191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