분류 전체보기 (780) 썸네일형 리스트형 1955 재건교회 첫 여자 목사 최덕지 1955년 재건교회 첫 여자 목사로 안수 받은 최덕지 최덕지 목사 민족운동, 여성운동, 신사참배 반대운동, 교회재건운동의 기수이자 첫 한국인 여자 목사의 한 명인 최덕지 여사를 재평가할 필요가 있다 뒷줄 중앙이 최덕지, 1936년 경남노회 순회 전도사 시절 [출처: http://www.hanryeotoday.com/news/articleView.html?idxno=11578] 1920년대에는 통영의 유곽을 보고 공창 폐지 운동을 전개하여 여성 권익을 신장하고 1930년대 후반부터 해방까지 여전도회 회장으로 신사참배반대 운동을 전개하고 감옥에서 온갖 고문과 핍박을 견디며 7년 성상을 투쟁하다가 옥중성도로 해방을 맞이하고 해방 이후에는 가장 강경한 교회 재건운동, 신사참배 회개 운동을 전개한 한국교회의 지도.. 1919 평양 삼일운동과 김선두 목사 김승태, “평양에서의 3・1운동과 김선두 목사,” 「기독교사상」 2018년 5월호. 91-100. 평양 3·1운동1919년 3월 1일 오후 1시, 평양 장대현교회의 종소리를 신호로 교회 옆 숭덕학교 운동장에서 평양의 장로교회 연합으로 1,000여 명이 모여 광무황제봉도식과 독립선언식을 거행하였다. 봉도식에 이은 독립선언식에서는 단상에 대형 태극기를 내걸고, 당시 장로회 총회장이자 서문외교회를 담임하던 김선두(金善斗) 목사가 사회를 맡았다. 서문외교회 전도사로 일하던 정일선(丁一善) 장로가 서울에서 보내온 독립선언서를 낭독하고, 산정현교회를 담임하던 강규찬(姜奎燦) 목사가 독립운동에 관한 연설을 했다. 이어서 윤원삼의 만세 삼창으로 독립선언식을 마치고 만세시위에 들어갔다. 숭덕학교와 숭현여학교의 교사와 학.. 손양원 목사의 삶과 신앙 이상규, "손양원 목사의 삶과 신앙," 코람데오닷컴 (2016. 10. 7)http://www.kscoramdeo.com/news/articleView.html?idxno=1018616세기 독일의 위대한 화가였던 알브레히트 뒬러는 ‘그림’(painting)에는 두 가지 목적이 있다고 했는데, 첫째는 교회를 위해 봉사하는 것이고, 둘째는 죽은 자를 기억하는 것이라고 말한 바 있습니다. 즉 예술은 교회를 위해 봉사하는 것이고, 앞서간 자를 기억하는 것이라고 말한 것입니다. 오늘 우리가 이 자리에 모인 것도 첫째는 하나님의 교회를 위한 것이고, 둘째는 앞서간 손양원 목사를 기억하고 그 분이 남기 신앙 정신과 그 유산을 본받기 위함일 것입니다. 한국교회가 낳은 가장 위대한 신앙의 인물 두 사람을 말한다면 주기철.. '조선의 간디’ 고당 조만식 장규식, “‘조선의 간디’ 고당 조만식,” 26 (2006년 겨울): 84-97. ‘분단 극복'의 지평에서 다시 읽어야 할 조만식자그마한 키에 무릎을 치는 깡똥한 검정 무명 두루마기, 말총 모자에 편리화,박박 깎은 머리에 수물수물 얽은 얼굴,나지막하고 허스키한 목소리. 지인들이 떠올리는 ‘조선의 간디’ 고당 조만식의 모습이다. 고당 조만식(1883- 1950)은 흔히 인도의 정신적 지도자 마하트마 간디에 비견된다. 상인 집안 내지 그 카스트 출신으로 식민 본국의 심장부에 유학하여 법학을 전공한 이력이라든지, 일상에서 몸소 토산 장려의 모범을 보이며 민중의 교사로 나선 점에서, 그리고 강한 종교적 신념을 바탕으로 비폭력 무저항의 민족운동을 이끌어 나간 점에서 두 사람은 닮은꼴이었다. 그런데 그에 못지않게 .. 1866년 평양 양란(洋亂)과 토마스의 순교, 그 해석사 (1) (2) 옥성득, "1866년 평양 양란(洋亂)과 토마스의 순교, 그 해석사 (1) (2)," (2018. 12) ; (2019. 1): 187-200. 평양 기독교 역사는 1866년(병인년, 고종 3년) 9월의 평양 양란(제너럴셔먼호 사건)과 토마스(Robert J. Thomas, 1840-66) 목사의 죽음으로 시작된다. 지난 150년간 토마스 사건은 몇 번의 계기를 통해 재구성되면서, 신학교 교회사 교수 중심의 ‘선교사–순교설’과 일반대 한국사 교수 중심의 ‘제국주의자–처형설’이 대립하는 뜨거운 감자가 되었다. 해방 이전에는 토마스의 죽음을 무모한 선교로 비판하다가 순교로 기념하는 쪽으로 바뀌었고, 해방 이후에는 찬양–비판–찬양이 교차하고 있다. 평양 교회사는 출발부터 논쟁사인 셈이다. 이 글은 자료 문제를.. 1925 '조선의 예루살렘 평양’ 담론의 실상 옥성득. "‘조선의 예루살렘 평양’ 담론의 실상." 기독교사상, 717 (2018.9): 9-18. 편역서 21권 저서 4권 1. 2009 韓半島 大復興 (홍성사, 431쪽) 2. 2013 The Making of Korean Christianity (UBP, 450쪽) 3. 2016 다시 쓰는 初代 韓國敎會史 (새물결플러스, 557쪽) 4. 2016 첫 事件으로 본 初代 韓國敎會史 (짓다, 408쪽) ...........................................................계 1,846쪽 편역서 21권 1. 2004a Historical Documents of the Korean Bible Society. vol. I: Correspondence of John Ross and Correspondence of Henry Loomis. Seoul: Korean Bible Society .. 1961 광나루 장신 광나루로 옮긴 장신대의 모습공중 촬영, 1961허허벌판인 강남으로 건너가는 광진교가 선명하고, 학교 주변에 집이 별로 없다. '광나루'라는 지명을 한 눈에 볼 수 있다. 신학교가 남북을 잇고 새로운 공간으로 나아가는 구원의 넓은 다리가 되어야 한다는 뜻을 계승하고 있을까? Aerial view of Presbyterian College and Theological Seminary (Tonghap) after re-locating to Seoul at Kwangjang Dong, Kwangjin Ku, 1961 @Moffett Collections, PTS 이전 1 ··· 89 90 91 92 93 94 95 ··· 98 다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