연대 (202) 썸네일형 리스트형 1956 영락교회 면려회, 공민학교, 성경구락부, Mrs. Genso 이 한 장의 사진 1956년 영락교회 기독청년면려회, 영락고등공민학교, 대한소년성경구락부 서울지부 본부 앞에서 겐소(Mabel Genso) 부인과 김성무 성경으로 한글을 가르치는 게 가장 큰 일이었다. 1969 마삼락 박사 대담 한국인에게 바란다: 잃어버린 생활철학 회복하고 더높은 이상을 추구하라. 대학생들은 더 열심히 공부해야. 유구한 역사와 고유한 문화와 민족성 때문에 한국 생존. 문제는 기독교의 분열성. 인구의 8%인 기독교에 잠재 가능성 많음. 50년 후 한국 개신교인은 다시 50년 전 수준으로 가고 있다. 1969년 인구의 8%가 개신교인이었다. 이제 다시 한 자리인 9% 수준. 곧 실제 주일 출석교인은 480만 정도(장로교인 280만, 오순절 70만, 감리교인 60만 등)이다. 그 모든 책임은 현직 신학교수들과 300명 교인 이상 중형 이상 교회의 목회자와 장로들에게 있다.자기 교단, 자기 교회 잘 나간다고 폼잡지 말라. 한국교회 전체를 살릴 궁리를 해라. 50년 전 마삼락Samuel Hugh Moffett 박사의 이.. 1949년 반민자 재판 지지부진 이 한 장의 사진: 1949년 4월 4일자 https://www.facebook.com/designersparty/photos/a.756143587762860/1244138862296661/?type=3&theater 70년 전 반민자 재판 해방 후 3년 간 미 군정은 반민족 친일파에 대해 "너희 일은 너희가 처리하라"는 말로 처벌을 미루었다. 1948년 8월 15일 정부 수립 후 곧 특별법이 마련되어 반민특위가 구성되고 1949년 1월부터 재판에 들어갔으나, 보도처럼 정의 실현은 지연되고 있었다. 평가 1912년 일제 식민지 하 첫 대 공판인 105인 사건 때는 선교사들이 적극 노력하여 법정 정의를 이루어내고 105인 중 99인의 무죄를 이끌어냈다. 그러나 해방과 정부 수립 이후 민족 정기를 수립하는 .. 대한국 예수교 쟝로회 로회 회록 셔문, 1908 대한예수교쟝로회 로회 회록 셔문 -구쥬 강생 일천 구백 팔년,대한 륭희 이년 무신 대한국 예수교쟝로회 로회 회록 셔문 신령하고 크도다. 이 아름다운 노회여. 교회의 머리 되시는 주 예수 그리스도께서 일찌기 사도와 문도를 택정하여 세우사, 천국의 복음을 천하에 전하여 만민의 영혼을 구원케 하셨으니, 주 예수에게 직분을 받은 사도와 문도들이 주께서 승천하실 때에 특별히 명령하심을 삼가 지켜 예루살렘 다락에 일제히 모여 마음을 같이하고 기도를 힘써 하나님의 허락하신 성신의 권능을 충만히 받은 후에 능히 각국 방언을 말하고 모든 이적을 베풀며 천하 각국에 헤어져 복음을 전할세, 회개하고 주를 믿는 자에게 주의 이름으로 세례를 주어 문도를 삼으며, 믿는 형제 중에 사람을 택하여 장로와 목사를 세워 교회를 치리케 .. 한국인이 쓴 첫 그리스도 강생론과 부활론, <主敎要旨>, 1799 정약종(丁若鍾 아우구스티노, 1760-1801년)의 (1799-1800년)는 한국 가톨릭 첫 교리서이자 변증론이다. 1801년 신유박해 때 본인, 가족과 형제들이 순교하고 유배당했다. 부활론은 순교론이었다. 상하 편은 다음과같이 구성되어 있다. 정리하면 상편: 창조주이신 천주의 존재와 천지창조 / 민간신앙 / 불교와 잡신 비판 / 천당과 지옥 하편: 천지창조 / 예수의 탄생 / 예수의 신성과 인성 / 예수의 활동과 기적과 죽음의 의미 / 예수의 수난 / 예수의 부활과 승천 / 최후의 심판 / 예수의 탄생과 수난의 의미 / 신자들에 대한 당부 책에 대한 소개는 다음을 보라. http://www.clak.or.kr/ver2/pyungshindo/webzine59ho.php?ptype=view&idx=8080.. 한국인이 처음 본 예수의 생애 그림 天主降生出像經解 (1637) Giulio Aleni, Tianzhu jiangsheng chuxiang jingjie 天主降生出像經解 [Illustrations and Explanations of the Incarnation of the Lord], 1637. Giulio Aleni (艾儒略, 1582–1649)는 이탈리아 예수회 신부로 1610년 중국 선교사로 마카오에 도착했다. 1613년 베이징에 가서 서광계의 도움으로 선교했다. 1625년부터 福建省에서 포교했다. 1637년 예수의 일생을 삽화로 표현하고 간단히 설명한 天主降生出像經解을 출판하여 중국인 선교에 큰 영향을 미쳤다. 이 책은 비록 서양화로 예수의 일생을 소개했지만, 공자의 생애 등 중국 성현의 생애와 교훈을 삽화와 함께 소개하던 한문 성현(聖賢)의 전기(傳記) .. 781 경교비가 소개한 예수의 탄생 동아시아에 처음 소개된 예수의 생애와 탄생 설명을 에서 찾아 보자. 781년 중국 시안에 세워진 는 doctrine, history, eulogy 세 부분으로 구성되어 있다. 첫 부분은 기독교 삼위일체 교리, 둘째 부분은 알로펜(阿羅本) 선교사로부터 635년 경교(景敎 Nestorianism)가 중국 唐나라에 전래되고 유행한 150년의 역사, 세번째는 짧지만 하나님에 대한 찬양과 중국 황제에 대한 칭송이다. 마지막에 설립연도와 비석 건립자인 法主[주교], 승[사제], 장로, 정부 관리들의 이름이 한자와 시리아어로 기록되어 있다. 1888년 영국 옥스포드대학교 교수 James Legge가 한문으로 옮기고 영어로 번역한 대진경교유행중국비 삼위일체 교리에서 기독론 부분은 한자로 한 페이지이다. 레그의 번역.. 4세기에 경교가 한반도에 왔을까? 1914년 고고학자 고든 여사(Mrs. E. A. Gordon)는 "Some Recent Discoveries in Korean Temples and Their Relationship to Early Eastern Christianity," Transactions of the Royal Asiatic Society Korea Branch V(1914):1-39에서 4세기에 중국으로부터 불교가 고구려에 유입될 때부터 시리아 기독교인 경교가 들어온 증거가 곳곳에 있으며 (예, 고구려 첫 불교 사찰의 하나인 伊普蘭寺 = Ephraim 사; 백제에 온 마라난타는 시리아 주교가 보낸 기독교 선교사; 신라 경주에 온 불승 墨胡子는 black monk of Syrian Christianity로 추측된다), 그 일부 .. 이전 1 ··· 14 15 16 17 18 19 20 ··· 26 다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