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분류 전체보기

(780)
福 ברך(바라크) 흔히 福 자를 一(한, 하나)의 口(입, 사람)에 田(밭, 땅)이 있다는 뜻으로 파자(破字)를 해서 뜻풀이를 한다. 요즘 같으면 네 식구 한 가족에 밭 네 개 대신 아파트 네 채로 풀어도 되겠다. 그러나 틀린 글자 풀이다. 한자의 구성 원리인 육서에서 이 복 글자는 형성+지사에 해당한다. 意部인 뜻을 나타내는 왼쪽 부수 示는 한자에서 제사를 지내는 제단이나 神을 나타낸다. 곧 복 자는 신과 연관된다는 뜻이다. 오른쪽 聲部는 복이며, 또한 배가 좌우로 부푼 술단지를 모양을 형상화한 글자이기도 하다. 즉 술이 가득 차 있는 술단지라는 뜻도 지닌다. 따라서 福자는 제단 앞에서 무릎을 꿇고 두 손(手)으로 술잔(잘 빚은 美酒)을 신에게 바치는 모습으로, 감사 기도를 올리며 예배하는 형상이다. 부복하여 복을 복걸..
한국교회사 석박사 논문, 2020. 1 - 2021 .3 박사 논문(2021-2020) 이범석, 우치무라 간조의 재림관에 대한 통일원리적 고찰, 선문대학교 신학전문대학원, 2021 김은정, 미국 북장로회 전도부인 연구, 연세대학교 연합신학대학원 김주황, 김진호의 기록물을 통한 생애 연구, 협성대학교 일반대학원 이교남, 미국 북장로교 안동선교부가 경북북부지역 교회 발전에 미친 영향, 총신대학교 목회신학전문대학원 박철우, 구세군 한국교회 예배음악 발전방향에 관한 연구, 서울장신대학교, 2021 유한수. 遊星 김준곤 목사의 십자가 중심 설교연구, 총신대학교 목회신학전문대학원, 2021 황성욱, 한국 기독교 역사를 통해 본 기독교 공동체의 대안적 연구, 협성대학교 일반대학원 이지춘, 한국 재림교회 역사 속의 종교자유 논쟁, 삼육대학교 대학원 여주애, 로제타 홀 선교사..
기독교 학교 연구 논문, 2019.11 - 2021.2 오선실, "근대전환기 서구 근대 생리학의 수용과 변용--애니 베어드 역, 『생리학초권』(1908)과 안상호 역 『신편생리학교과서』(1909)를 중심으로--," 인대학교 한국학연구소, 60 (2021.02): 343 - 368 (26 pages) 박상진, "해방 이후 기독교사립학교의 팽창 연구," 장로회신학대학교 세계선교연구원, 53 (2021.02): 89 - 125 (37 pages) 한강희, "일제하 기독교계 학교의 항일민족주의 기원과 형성: 선교사 오리엔탈리즘의 근대주의적 전유와 변용," 한신대학교 한신신학연구소 77 (2020.12): 235 - 273 (39 pages) 김지은, 박용규, "개화기 한국장로교의 학교교육과 민족운동의 상관성 연구," 신학지남사, 87(3) (2020.12): 275..
全的 기독교 우치무라 간조와 김교신-- 역사적 관점 内村鑑三(1861-1930년)과 김교신(1901-1945)의 나이 차이는 40세요, 김교신은 우치무라 사후에 15년을 더 살았다. 따라서 1920년대의 김교신이 내촌의 무교회주의를 계승하고 성경적인 순수 복음의 기독교를 전하려는 측면이 강했다면, 1930-45년의 김교신은 좀 더 조선적 기독교, 30년대의 상황에서 나온 새로운 독자적인 면이 있을 것이다. 20년대에는 내촌과의 연속성(continuity), 30년대는 내촌과의 비연속성(discontinuity)의 관점에서 보면 좋을 것이다. 즉 1930년 이후의 김교신의 자료를 읽을 때에는, (1) 내촌이 경험하지 못했던 만주사변(1931), 중일전쟁(1937), 교회의 신사참배(1935-45), 태평양전쟁(1941..
전설적인 구인 광고 1900년 새클턴(Ernest Shackleton)이 남극 탐험대를 모집하기 위해 신문에 게재했다는 광고. 구인. 위험한 여행, 낮은 임금, 혹독한 추위, 완전한 어둠의 여러 달, 지속적 위험을 위해 일할 남자 구함. 안전 귀환은 의심스러우나, 성공 시 명예와 인정. 어니스트 새클턴 벌링턴가 4번지. 이 광고는 역사상 가장 유명한 광고의 하나다. 수많은 책에서 다룬 유명 인용구이다. 서구에서 모험, 탐험, 헌신, 남성성, 개척, 정복을 최고의 가치로 노래하던 지난 날 수없이 많이 인용된 말이다. 그러나 광고의 출처는 오리무중이다. 이 광고를 찾는 사람에게 100달러 보상금을 내걸었지만 아직 청구한 사람은 없다. 이 광고를 언급하는 첫 책은 1959년 Julian Watkins의 The 100 Greate..
광주 제중원, 1905-1920 남장로회는 1904년 성탄절 전남 광주 양림동에 선교지부를 설치하고, 교회, 남녀 학교, 병원(제중원 -->기독병원), 나환자병원, 성경학교 등을 설립해 나갔다. 현재 교회와 학교는 일부 건물들이 남아 있지만, 제중원 건물은 남아 있지 않다. 1885년에 설립된 서울의 제중원은 1894년 선교병원으로 전환되었다. 이후 평양을 비롯한 여러 장로회 선교지부에 병원을 설립할 때 그 이름을 제중원이라고 했는데 그 뜻은 선교병원이었다. 고유명사가 일반명사로 변해서, 평양 제중원, 전주 제중원, 광주 제중원 등으로 불렸다가 예수병원, 기독병원으로 개칭하게 된다. 최근에 광주 제중원 터를 확인하고 기념석을 세웠다. 아래 지도에서 중앙에 사각형으로 표시되어 있다. 아래 지도에서 14번이 광주기독병원이며, 첫 제중원 터..
숭실전문의 세 교장, 1931 평양 숭실전문학교의 세 교장, 베어드, 마페트, 매큔이 다른 교수들과 함께 강당의 강단 위에 서 있다. 숭실의 전성기. Three Presidents of Soongsil College (S.A. Moffett, W. Baird, G. McCune) - Baird was founder and 1st president" 왼쪽에서 4번째 마페트, 중앙 쪽에 키가 가장 큰 이가 베어드, 그 옆이 매큔이다. 베어드 박사의 한국 내한 40주년 기념식이 있었던 해이다. 아래 사진에 세 교장이 함께 서 있다.
광주 선교지부, 1949년 Presbyterian Meeting (Florence Root, Dr. & Mrs. Knox, Mary Dodson, Anna McQueen, Petrie Mitchell, Mary Belle Mitchell, Mrs. & Dr. Talmage, Mrs. & Mr. Miller) - Kwangju, Korea, 1949