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분류 전체보기

(780)
1926 기인 이상재 이광수, "現代의 奇人 李商在翁, 勇氣와 信念과 希望의 人生活自軆가 偉大한 事業," 7 (1926년 11월 1일): 6-7., 李商在 翁은 현대의 기인이다. 기인이라 하면 失敬일는지 모르거니와 翁이 奇人인 까닭은 여러 가지 있다. 첫째 翁은 이미 80노인이면서 청년이라 자칭하여 중앙 기독교 청년회의 간사요, 손자, 증손자 뻘이나 되는 소년들과 너, 나하고 갸닥질을 하니 奇人이요. 둘째 翁은 가정으로는 무척 불행한 어른이어서 아들 손자의 참척을 많이 보되 일쯕 슬퍼하는 빛을 보이지 아니하고, 『오 이 놈 너도 나를 두고 먼저 가느냐.』 하고 태연자약한 것도 기인이다. 자녀를 낳은 것이 내 뜻이 아니요. 신의 뜻일찐댄 자녀를 돌우 천국으로 찾아가는 것도 오직 신의 뜻이다. 신의 뜻에 대하여는 오직 唯唯할 뿐..
한국인이 쓴 첫 그리스도 강생론과 부활론, <主敎要旨>, 1799 정약종(丁若鍾 아우구스티노, 1760-1801년)의 (1799-1800년)는 한국 가톨릭 첫 교리서이자 변증론이다. 1801년 신유박해 때 본인, 가족과 형제들이 순교하고 유배당했다. 부활론은 순교론이었다. 상하 편은 다음과같이 구성되어 있다. 정리하면 상편: 창조주이신 천주의 존재와 천지창조 / 민간신앙 / 불교와 잡신 비판 / 천당과 지옥 하편: 천지창조 / 예수의 탄생 / 예수의 신성과 인성 / 예수의 활동과 기적과 죽음의 의미 / 예수의 수난 / 예수의 부활과 승천 / 최후의 심판 / 예수의 탄생과 수난의 의미 / 신자들에 대한 당부 책에 대한 소개는 다음을 보라. http://www.clak.or.kr/ver2/pyungshindo/webzine59ho.php?ptype=view&idx=8080..
한국인이 처음 본 예수의 생애 그림 天主降生出像經解 (1637) Giulio Aleni, Tianzhu jiangsheng chuxiang jingjie 天主降生出像經解 [Illustrations and Explanations of the Incarnation of the Lord], 1637. ​Giulio Aleni (艾儒略, 1582–1649)는 이탈리아 예수회 신부로 1610년 중국 선교사로 마카오에 도착했다. 1613년 베이징에 가서 서광계의 도움으로 선교했다. 1625년부터 福建省에서 포교했다. 1637년 예수의 일생을 삽화로 표현하고 간단히 설명한 天主降生出像經解을 출판하여 중국인 선교에 큰 영향을 미쳤다. ​이 책은 비록 서양화로 예수의 일생을 소개했지만, 공자의 생애 등 중국 성현의 생애와 교훈을 삽화와 함께 소개하던 한문 성현(聖賢)의 전기(傳記) ..
청일전쟁에서 러일전쟁까지 교회 기초가 놓이다, 1895-1904 평양의 기독교 5 : " , 2019년 3월호 청일전쟁 후 개신교인이 급증하면서 평양은 러일전쟁 이전 한국 기독교의 중심지가 되었다. 일본의 승리로 조선을 지배하던 세계관인 중화주의가 무너졌다. 한반도는 일본과 러시아의 각축장이 되었고, 평양에는 일본 상인들이 몰려왔다. 전쟁의 신 관우가 일본의 근대무기 앞에 항복하고 대한제국이 근대화를 추진하자, 난세에 영적 혁명을 경험한 서북인은 교회로 몰려왔다. 1895-1900년 6년간 북장로회의 경우 서울 선교지부에 5개의 교회가 신설될 때, 평양 선교지부에는 96개(평남 73, 평북 23)가 세워지면서 폭발적 교회 설립기가 시작되었다. | 북장로회의 발전 1895년 1월 마페트와 리가 거주하기 시작하면서 평양 선교지부가 개시되었고, 1896년 6월 리 가족의 ..
781 경교비가 소개한 예수의 탄생 동아시아에 처음 소개된 예수의 생애와 탄생 설명을 에서 찾아 보자. ​781년 중국 시안에 세워진 는 doctrine, history, eulogy 세 부분으로 구성되어 있다. 첫 부분은 기독교 삼위일체 교리, 둘째 부분은 알로펜(阿羅本) 선교사로부터 635년 경교(景敎 Nestorianism)가 중국 唐나라에 전래되고 유행한 150년의 역사, 세번째는 짧지만 하나님에 대한 찬양과 중국 황제에 대한 칭송이다. 마지막에 설립연도와 비석 건립자인 法主[주교], 승[사제], 장로, 정부 관리들의 이름이 한자와 시리아어로 기록되어 있다. ​1888년 영국 옥스포드대학교 교수 James Legge가 한문으로 옮기고 영어로 번역한 대진경교유행중국비 삼위일체 교리에서 기독론 부분은 한자로 한 페이지이다. 레그의 번역..
4세기에 경교가 한반도에 왔을까? 1914년 고고학자 고든 여사(Mrs. E. A. Gordon)는 "Some Recent Discoveries in Korean Temples and Their Relationship to Early Eastern Christianity," Transactions of the Royal Asiatic Society Korea Branch V(1914):1-39에서 4세기에 중국으로부터 불교가 고구려에 유입될 때부터 시리아 기독교인 경교가 들어온 증거가 곳곳에 있으며 (예, 고구려 첫 불교 사찰의 하나인 伊普蘭寺 = Ephraim 사; 백제에 온 마라난타는 시리아 주교가 보낸 기독교 선교사; 신라 경주에 온 불승 墨胡子는 black monk of Syrian Christianity로 추측된다), 그 일부 ..
근원으로 돌아감 1900년 성공회 강화 성전의 주련 5개 중 중앙에는 다음과 같이 쓰여 있다. 三位一體天主萬有之眞原 (삼위일체 하나님은 만물의 참 근원이시다) 우리 삶의 시작과 끝에 창조주가 계신다. "삼위일체 천주 만유지진원"이 기독교의 가장 중요한 가르침이다. 성경도, 우리의 신앙고백/사도신경/신조도 모두 여기서 출발하고 여기로 돌아간다. 지식과 지혜의 출발점이 주님을 경외하는 것이다.(잠 1:7) 그래서 강화성전 입구 중앙에 이 구절을 주련으로 달았다. ​그리고 성전 안 제단 위에도 이를 줄여 "萬有眞原" 편액을 달았다. 만물의 참 근원은 야훼이시다. 기독교가 처음 전해 지는 곳마다 이 만물의 근원, 만물의 뿌리, 눈에 보이는 것과 보이지 않는 모든 피조물의 창조주를 먼저 가르친다. 만유의 근원이요 생명의 근원이라..
강화 성공회 천주성전과 주련 [1900년 성공회 강화 성전의 주련] 궁궐, 서원, 사찰, 고택과 같은 전통 한옥에는 건물 이름을 쓴 현판 외에 기둥에 경구를 쓴 주련(柱聯)이 있다. 주련은 그 건물의 성격을 드러낸다. 1890년대 한국교회가 예배당을 한옥으로 지을 때 교회 정면 기둥이나 예배당 안 기둥에 주련을 붙였다. 1900년에 완공된 성공회 강화 성전의 주련이 대표적이다. 그 다섯 개의 주련은 다음과 같다. 無始無終先作形聲眞主宰 처음과 끝이 없으나 형태와 소리를 먼저 지으신 참 주재이시다. 宣仁宣義聿昭拯濟大權衡 인애와 정의를 선포 규명하고 구제하시니 공평한 큰 저울이다. 三位一體天主萬有之眞原 삼위일체 하나님은 만물의 참 근원이시다. 神化周流囿庶物同胞之樂 성신의 감화가 두루 흘러 만물을 기르시니 동포의 즐거움이다. 福音宣播啓衆民..